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5.01.10 21:05 수정 : 2005.01.10 21:05

담보없이 대출 꺼려…기술력 갖춘 우량기업도 도산위기

금융기관들의 보수적인 대출 운용 때문에 부산 지역 중소기업들의 자금사정이 외환위기 때만큼이나 어려운 상황을 맞고 있어, 대규모 부도사태를 막기 위한 대책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 부산본부는 10일 지역 중소기업 금융지원 현황과 개선과제 조사보고서를 발표해, 지역 중소기업들이 일시적인 자금난 때문에 기술력과 성장가능성을 갖춘 업체까지 도산할 위험에 놓여 있다고 밝혔다.

조사보고서를 보면, 부산의 중소기업 수는 25만7000개, 종사자수는 86만7000명으로 지역 전체 사업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각각 99.2%와 91.1%로 나타났다. 중소기업의 수출액은 36억7800만달러로, 전체 사업체의 75.9%에 이른다. 중소기업이 무너지면 부산경제의 ‘버팀목’이 무너지는 셈이다.

■ 자금사정=부산 중소기업의 자금사정 실사지수는 100을 기준으로 했을 때 외환위기를 벗어난 2001년 이후 90 안팎의 양호한 수준을 유지했으나, 2003년 1/4분기들어 70으로 떨어진 뒤 계속 60~70대의 낮은 수준에 머물러 있다. 자금사정이 어려운 가장 큰 이유는 경기침체에 따른 기업들의 경영부진이지만, 그 다음 이유는 금융기관의 자금지원 미흡으로 조사됐다. 특히 최근에는 금융기관들이 중소기업 금융지원을 축소해 자금사정을 더욱 어렵게 만들었다.

■ 금융지원 현황=지난해 10월 말 현재 부산 중소기업에 대한 금융지원액은 잔액 기준 18조7038억원으로 나타났다. 지원경로는 예금은행을 통한 대출이 전체의 99.7%를 차지했고, 정부의 직접대출은 500억원으로 0.3%에 불과했다. 특히 최근에는 금융기관들이 중소기업에 대한 대출을 보수적으로 운용해, 부동산(49.8%)과 예금(9.9%) 등 담보대출이 전체 대출의 60%에 이르는 등 담보 위주의 대출관행이 더욱 심해지고 있다.

■ 개선과제=국내경기 회복을 통한 경영환경 개선이 무엇보다 필요하지만, 원활한 금융지원이 반드시 뒤따라야만 가능하다. 금융기관은 기존 대출금에 대한 만기 연장을 원활히 하고, 신규대출의 급격한 축소를 자제해야 한다. 정부도 금융기관의 중소기업 대출에 대한 탄력적 정책 운용을 해야 하며, 중소기업은 은행 차입을 통한 자금조달 비중을 줄이고 직접금융 이용을 확대하는 등 자금조달 수단의 다양화를 추진해야 한다. 부산/최상원 기자 csw@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