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5.01.11 22:07 수정 : 2005.01.11 22:07

대구 노사정 협의회가 11일 열려 대구경제 살리기 공동선언문을 채택했다. 그러나 민주노총이 참여하지 않아 ‘반쪽 노사정’이라는 비난도 적지않다.

대구 노사정협의회는 이날 오전 11시 대구시청에서 “노사정이 하나된 공동 운명체로 기업이 살아야 근로자가 살고 대구경제가 산다는 인식아래 지역경제 회생에 앞장선다”는 내용을 뼈대로 하는 ‘대구경제 살리기 공동 선언문’을 발표했다.

노사정 협의회는 선언문을 통해 “한국노총은 지역에 투자하는 기업에 대해 노사화합이 보장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하고, 지역 경제계는 올해 안에 일자리 1만여개를 만들어내겠다”고 다짐했다.

또 대구시, 노동청 등 관련기관은 “노사화합과 일자리 창출을 위해 할 수 있는 모든 노력을 한다”고 밝혔다.

대구시 관계자는 “노사정 협의회가 한국노총 쪽의 요청으로 열리게 됐다”고 말했다.

이날 노사정 협의회에는 위원장을 맡은 조해녕 대구시장, 부위원장인 김정길 <매일신문> 명예주필, 위원인 김경조 한국노총 대구본부 의장, 이효균 대구경영자총협회 회장, 이희태 대구상공회의소 상근 부회장, 박효욱 대구노동청장, 여희광 대구시 경제산업국장 등이 참석했다.

또 대구시의회 장경훈 의원, 김승희 변호사, 이상덕 계명대 교수, 윤귀분 대구여성기독청년회 사무총장 등의 위원이 참석했다. 그러나 노사정 협의회 위원 12명 가운데 배근희 여성단체협의회장은 불참했다.

대구 노사정협의회는 지난해 1월 결성된 뒤 ‘기업하기 좋은 도시를 만들자’는 회의와 시내버스 파업 대책, 노사화합 우수업체 선정 등 2004년 한해동안 4차례 모임을 열었다.


창립때 부터 노사정 협의회에 불참한 민주노총 대구본부는 “대구 노사정협의회가 사용주의 입장을 대변으로 기구로 변질돼 간다”는 견해를 밝혔다.

민주노총 대구본부 관계자는 “노사정 협의회가 관료적이고, 형식적으로 운영되면서 지난해 대구 노동계 최대의 현안이었던 지하철 파업 등에 아무런 역할을 해내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한편, 대구시는 “연합노조 등을 포함 대구시내 노조결성 업체 208곳 가운데 한국노총 소속은 71%인 147곳, 민주노총 소속은 19%인 39곳, 상급단체 미가입 업체는 10%인 22곳”이라고 밝혔다.

대구/구대선 기자 sunnyk@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