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1.05.25 20:18 수정 : 2011.05.25 20:18

문준혁(35·사진) 서강대 교수 연구팀은 25일 식물의 광합성 원리를 응용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성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3차원 전극’을 처음 개발해, 논문이 <어드밴스트 머티리얼스> 최근호에 실린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재료를 깎아내리는 3차원 식각(리소그래피) 공정과 입자를 쌓아올리는 상향식 공정을 합쳐 3차원으로 정렬된 지름 수십나노미터(1㎚는 10억분의 1m)의 기공들이 모여 다시 수백나노미터로 정렬된 3차원 전극을 만들었다. 이 전극 내부에서는 전자의 손실이 크게 줄어들었다.

연구팀은 3차원 전극소재 기술에 대해 국내 특허출원을 했으며, 외국 특허출원을 준비중이다. 이근영 선임기자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