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해양연구원 안에 올해 3월 설치된 미세조류 바이오연료 생산 실증실험장에서 지난 17일 강도형 선임연구원이 미세조류 배양과 바이오연료 추출 과정을 설명하고 있다.
|
해양연, 롯데건설 등과 생산단지 조성 MOU
생산량 콩의 40배…“2013년 상용화 가능”
한국해양연구원(해양연)은 21일 오전 11시 경기도 안산시 본원 국제회의실에서 롯데건설, 애경유화, 호남석유화학 등 3개 기업과 미세조류 배양과 바이오연료 생산 실험 및 생산단지 조성에 협력하기로 합의하는 양해각서(MOU)를 교환했다. 강정극 해양연 원장은 “세 기업과 협력해 2013년까지 10헥타르(㏊·3만평)의 미세조류 생산단지를 만들어 바이오연료와 고부가물질을 포함해 연간 3000억원 이상의 수익을 낼 계획”이라고 밝혔다.
■ 40t 실험장에서 바이오연료 연간 600ℓ 생산 지난 3월 완공된 미세조류 바이오연료 실증실험장에서는 20t짜리 수조 2곳에서 미세조류들이 자라고 있다. 한쪽에는 바닷물이, 다른 쪽에는 바닷물과 민물을 반씩 섞은 기수가 차 있다. 바닷물에서는 초록색의 조류가, 기수에서는 갈색의 조류가 수차처럼 돌아가는 프로펠러에 의해 수조 속을 빙빙 돌고 있었다. 허수진 해양생물자원연구부 연구원은 “실험실에서 분류한 미세조류를 250㎖에서부터 5ℓ, 300ℓ 등 단계적으로 키운 뒤 수조에 넣고 본격적으로 배양한다”며 “3~8시간이면 두배로 증가해 71일 만에 이미 6번을 수확해 기름을 짰다”고 말했다. 실험실에서 현미경으로 들여다보며 입에 문 지름 수마이크로미터짜리 빨대로 미세조류를 골라내는 게 연구팀만의 ‘비법’이다. 이렇게 골라낸 조류들을 적당한 영양분이 섞인 물속에 넣고 온도와 산소, 빛 등을 적절한 조건에 맞춰 키워 지방 함유가 가장 많으면서도 빠른 속도로 자라는 종을 찾아낸다. 연구팀은 이산화탄소를 공급받지 않으면서도 잘 자라는 조류를 ‘육종’하고 있다. 실제 재배할 때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면 두배로 잘 크기 때문이다.
|
미세조류 미세조류광합성 색소를 가지고 광합성을 하는 단세포생물. 태양광과 물만 있으면 바다(소금물)나 사막 등 열악한 환경에서도 잘 자란다. 수십만종의 미세조류 가운데 현재 5종이 바이오연료 생산용으로 발굴돼 쓰이고 있다.
|
한국해양연구원이 보유하고 있는 미세조류들. 오른쪽 현미경으로 확대한 사진에서 하얀색 부분이 바이오연료 원료인 중성지방을 축적한 모습이다. 한국해양연구원 제공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