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5.01.03 22:33 수정 : 2005.01.03 22:33

새해를 맞아 자치단체들이 청사진을 짜고 살림구상을 하느라 바쁘다. 자치단체의 계획과 각오는 주민의 생활에도 직접·간접적으로 영향을 끼칠 것으로 보인다. 올해 펼쳐질 광주·전남·전북·제주 등 4개 광역자치단체들의 주요 사업들과 예산 씀씀이를 살펴본다.

문화중심도시 조성사업 역점

◇ 광주시=광주시는 올해 일반회계 1조3450억원과 특별회계 6856억원을 합쳐 모두 2조306억원의 예산을 편성했다. 재정자립도는 57.6%이다.

시는 이 예산으로 제조업 기반 육성과 문화중심도시 조성 등을 역점 사업으로 추진한다.

우선 지역경제를 살리고 일자리를 늘리기 위해 자동차·전자·광산업 등 제조업의 투자환경을 조성하는 데 집중적으로 투자한다. 이를 통해 기아 스포티지를 비롯한 자동차 생산량을 한해 35만대에서 50만대로 늘리고, 삼성전자 이전 라인을 주축으로 가전산업의 기반을 튼실하게 다진다는 방침이다.

광산업 2단계 사업으로 광산업 집적단지 조성과 발광다이오드(엘이디) 밸리 구축 등을 펼친다.

문화중심도시 조성 사업은 문화특구 지정과 특별법 제정에 힘쓰고 △아시아의 문화발전소인 국립 아시아문화전당 건립 △새도시에 버금가는 복합문화산업단지 조성 등으로 시행한다. 영화·애니메이션·컴퓨터 형성 이미지(시지아이) 등 영상물 산업 육성과 세계디자인비엔날레 창설을 통한 디자인 산업 진흥도 과제로 꼽힌다.

이밖에 국비 8513억원을 들여 추진하는 국책사업은 △국립아시아 문화전당 건립 970억원 △광산업 2단계 투자 393억원 △나노기술집적센터 기반 구축 250억원 △광주전시컨벤션센터 건립 169억원 등이다.


교통망 확충을 위해 △지하철 1호선 건설·운영 907억원 △광주∼무안 고속도로 건설 721억원 △광주∼장성 국도 확장 177억원 △광주 첨단2단계 진입도로 50억원 등도 추진한다. 광주/안관옥 기자

친환경농업에 예산 28% 집중

◇ 전남도=전남도는 지역경제 활성화와 친환경 농업 육성에 중점을 두고 올해 살림살이 계획을 짰다. 무엇보다 올 예산 3조 2824억원 중 일반회계 2조 5649억원의 28.1%인 7205억원을 친환경 농업 육성 사업비로 편성한 점이 눈에 띈다. 전남도 관계자는 “100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전국에서 처음으로 읍·면 전 지역을 친환경 농법으로 농사를 짓는 단지로 조성한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 우선 올해 18개 시·군의 21개 읍·면 5000㏊를 시범단지로 지정한다. 올해 강진군 옴천면 농민 일부가 저농약 쌀 재배를 시작해 2009년까지 옴천면 전체 농가가 친환경 벼 농사로 전환하도록 한다는 것이다.

경제분야에선 생물산업(비티)·정보통신(아이티)·나노산업(엔티) 유치를 들 수 있다. 이를 위해 일반회계 예산 중 20.9%인 5325억원을 생물산업 육성 등 지역경제 활성화 관련 사업에 투자한다. 오는 9월 나주시에 들어설 ‘생물산업지원센터’는 식품 소재 관련사업 활성화에 힘을 쏟는다. 또 화순에는 ‘생물산업 연구센터’가, 여천 율촌산업단지에는 ‘신소재기술산업화지원센터’가 각각 설립된다.

이와함께 문화·관광 부문산업 활성화를 위해 참여형 관광지 개발을 본격화한다. 예를 들면, 영암 왕인 박사 유적지에 ‘학당’을 만들어 역사체험을 할 수 있도록 전라도 문화자원을 활용한 체험 관광을 활성화 시키자는 것이다. 또 ‘영산강 고대문화권 개발’이 건교부의 ‘특정지역 개발사업’으로 채택돼, 관련 부처 협의가 끝나면 나주·영암 등 8개 시·군에 1조6468억원이 투입된다.정대하 기자

신산업·물류중심 발판 다지기

◇ 전북도=전북도는 올해 목표를 ‘신 성장동력 창출의 원년’으로 세웠다. 오는 7월 전주시 효자동 신청사로 둥지를 옮길 예정이어서 각오가 새롭다. 특히 올해는 민선자치 10년을 맞는 만큼 역동적인 도정을 펴기로 했다.

이를 위해 도가 확보한 올해 국가예산은 2조6875억원이다. 이는 지난해 보다 2658억원(11%)이 늘어난 것이다. 주요 역점사업의 예산은 새만금사업 1500억원, 고속도로(4개 사업) 2225억원 등 37건 1조716억원이다. 신규사업의 예산은 신재생에너지 테마파크 130억원과 나노기술 집적센터 80억원 등 49개 사업에 1713억원이다.

전북도는 5가지 도정 중점 추진방향을 정했다. 첫째, 성장산업 기반조성이다. 테크노파크 조성과 지역혁신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2월 중으로 문을 열 정읍시 첨단방사선 이용연구센터 등 방사선융합기술 산업으로 신산업 토태를 마련한다.

둘째, 신산업 물류중심지 실현이다. 새만금 방조제를 높이고 내부개발 계획을 수립해 새만금사업을 계획대로 추진한다. 자동차부품 기계산업 집적화를 전개하고, 전라선·군산선 복선 전철화 및 4개 고속도로를 추진한다.

셋째, 동부산악권과 서해안권을 연계해 관광벨트화를 추진한다. 태권도공원과 장수 경주마목장을 연계하고, 섬진강권역 영상벨트를 조성한다. 넷째, 수질보전 대책 등 청정 전북 가꾸기에 나선다. 다섯째, 전북쌀 브랜드화 등 농촌 자생력 강화와 사회·복지공동체를 갖추는 것이다.

강현욱 전북지사는 “화합과 전진을 위해 노력하겠으며, 올해 확보한 국가예산으로 지역경제의 침체를 극복하는 성장동력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전주/박임근 기자

생물산업 밑돌 놓고 관광 도약

◇ 제주도=제주도는 올해 도정 기조를 ‘도민 대통합과 경제 살리기, 새로운 경쟁력 창출과 도민 복지 지수의 향상’으로 정했다.

도는 특히 침체된 지역경제의 활성화를 위해 올해를 ‘지역경제 자생능력 기반 강화 원년’으로 설정해 지역경제 살리기를 도정의 최우선 과제로 추진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도는 내년예산을 지난해의 9611억원에 비해 5% 늘어난 1조96억원 규모로 잡고 △첨단과학단지 조성을 통한 생물산업 육성 133억원 △생물다양성 연구소 건립 30억원 △수질오염방지를 위한 환경기초시설 조기 구축 218억원 △수해방지 종합기본계획 수립 및 정비 131억원 △스포츠산업과 연계한 관광산업 활성화 59억원 △관광종합안내센터 건립 34억원 등을 투입할 계획이다.

도는 지역경제의 활성화를 위해 청년실업 일자리 창출과 서귀포시 재래시장 진입로 개설 및 확충 등 재래시장의 회생을 지원하고, 미분양 공동주택의 지방세를 감면해 주택경기를 활성화하는 한편 동부관광도로와 지방도 등 관급공사를 80% 이상 상반기에 발주키로 했다.

이와 함께 제주국제자유도시 행정업무의 효율성을 위해 현행 자치제도보다 한단계 향상된 자치제도를 실시하기 위한 ‘제주특별자치도 설치 및 운영에 관한 특별법’ 제정에 노력을 기울이는 한편 지역특성을 살린 관광상품 개발과 스포츠산업 활성화 등을 통해 국내외 관광객 510만명을 유치하기로 했다.

김태환 지사는 “도민과의 합의에 의한 도정목표와 방향을 설정해 행정을 안정적으로 운영하겠다”며 “제주도가 관광허브로 거듭날 수 있도록 관광정책을 체계적으로 정비하고, 경제살리기에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제주/허호준 기자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