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5.01.03 22:52 수정 : 2005.01.03 22:52

주민과 환경단체 등의 반발로 건설이 늦어진 경기 용인시 영덕리~서울시 세곡동 사이 ‘영덕~양재 고속도로’의 성남 구간 차로 너비가 줄어들어 주변지역이 극심한 교통체증에 시달릴 것이라는 주장이 나왔다. (<한겨레> 2004년 11월25일치 11면 참조)

‘영덕~양재 고속도로 건설반대 범시민대책위원회’(공동대표 권순홍)는 최근 자료를 내어 “영덕~양재 도로는 다른 고속도로와 연결되지 않는 ‘외통 고속도로’인 데다 성남 고등나들목~헌릉나들목 구간이 편도 3차로에서 2차로로 줄어 시간당 2200대의 차량이 고등나들목~서판교나들목 구간에 갇히면서 교통정체와 서행을 반복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대책위 “주변 국도까지 정체·서행 여파”
“토지보상 아끼려다 환경훼손 더 켜져”
업체 “교통영향평가 충분히 반영” 맞서

대책위는 또 이럴 경우 차량들이 서판교나들목으로 빠져나와 국지도 23호선, 경부고속도로, 서울외곽순환도로, 분당~수서 고속화도로는 물론 새로 개설될 판교 중앙로를 이용할 것이고, 이 때문에 이 일대가 교통지옥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와 함께 대책위는 “이 도로는 토지보상비가 가장 적은 산간 녹지대와 개발제한구역을 통과하도록 수익성 위주로 설계됐다”며 “토지매수 비용을 줄이기 위해 전체의 45.2% 구간을 터널과 교량으로 만들어 청계산 일대 자연환경 훼손이 국가가 도로를 건설할 때보다 훨씬 크다”고 지적했다.

대책위는 “엄청나게 낮은 이익률이 예상된다는 민자사업에 ㈜경수고속도로가 매달리는 이유를 이해할 수 없다”며 “이는 현행 사회간접자본시설에 대한 민간투자법을 악용했다는 의혹을 반증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와 관련해 경수고속도로쪽은 “현재 주민과 환경단체 등의 반발 사업추진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면서 “고속도로의 설계는 인접 지역에 미칠 교통영향 등을 충분히 반영해 이뤄지는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민간투자 사업자인 경수고속도로㈜는 이 도로 22.9㎞를 올해 착공해 2008년말 완공할 계획이지만, 감사원은 지난해 10월25일 사회간접자본 민간투자제도 운용실태에 대한 감사결과를 발표하면서 “(사업시행사가 제시한) ‘영덕~양재 고속도로’의 예측 교통량인 하루 11만3천대 가운데 5만5천대는 산출근거가 없다”는 검토의견을 내 이 도로의 교통량 분석에 문제가 있음을 지적했다. 성남/김기성 기자 rpqkfk@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