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5.01.03 23:18 수정 : 2005.01.03 23:18

대전시, 지원본부·벤처펀드 등 추진키로

대전시는 3일 대덕연구개발특구 특별법 제정에 따라 올해를 ‘특구 원년’으로 정하고 특구 육성기반 마련을 위한 본격적인 준비에 들어갔다.

염홍철 대전시장은 이날 신년사에서 “올해 특구 지정으로 대전이 국가혁신과 지역혁신체제의 거점 기반을 마련하고, 대덕밸리 연구성과의 고도화, 상업화, 국제화를 통해 ‘연구개발·비즈니스특구’로 상승되는 전환점을 가져오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시는 이를 위해 과기부와 협의를 통해 특구법 시행령 제정과 특구지원본부를 설립하고, 금융지원을 위한 특구전용 벤처펀드 결성, 연구소 기업의 시범 설립, 국내외 우수기업 및 연구센터 유치활동 등을 중점 추진하기로 했다.

시는 또 연구개발 성과를 융합화·산업화할 수 있도록 산업별 클러스터를 조성해 대전을 첨단산업이 중심이 되는 산업구조로 질적인 변화를 추구하기로 했다.

산업별 클러스터는 고주파부품산업 지원센터, 아이티전용벤처타운 건립을 통해 ‘정보통신산업 클러스터’, 바이오벤처타운 건립, 허친슨 암연구소 한국센터 설립과 기존의 바이오인프라를 통해 ‘바이오 테크노폴리스’, 지능로봇, 나노기술이 집적되는 첨단클러스터 등이 조성된다.

정부는 이 같은 사업 추진을 하려고 올 예산에 △특구를 대상으로 하는 수요 지향적 연구개발 시스템 구축(40억원) △대덕 연구개발특구 육성 및 관리기구 설립·운영비 지원(60억원) 등 모두 100억원을 책정했다.

정부는 앞으로 △2006년 471억3천만원 △2007년 700억원 △2008년 800억원을 집중 투자하며 2009년 이후 추가로 2천억원을 투입할 방침이다.


염 시장은 “특구가 세계적인 혁신클러스터로 발전하도록 전국 최초로 자치단체에 설치한 대학협력기구를 적극 활용해 산·학·연 협력사업에서 지역대학이 주도적 구실을 담당할 수 있도록 하고, 연구소의 역량을 유기적으로 결합하는 협조 시스템 구축에 시가 적극 나서겠다”고 말했다.

대전/손규성 기자 sks2191@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