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국가정보원
|
국정원 단독 결정일까
새누리 “남재준 원장 결단” 불구
상의 없었다면 사실상 ‘항명’
국정원 문제로 6월 국회 파행
현안처리 안되자 ‘무리수’ 분석
NLL대화록 공개 뒤 국조 수용
‘여론 불리하지 않다’ 판단한 듯
국가정보원이 24일 2007년 남북정상회담 대화록을 기밀해제해 국회 정보위원회 의원들을 통해 전격 공개한 것은 ‘국정원의 단독 행동’이 아니라 ‘박근혜 대통령의 뜻’에 따른 결정이라는 혐의가 짙다.
물론 국정원과 여권은 국정원의 자체 판단에 의한 것이라는 점을 누누이 강조하고 있다. 국정원 관계자는 “비밀문서를 일반문서로 해제하는 데는 청와대 승인도 국회의 요청도 필요 없다. 절차에 따른 것일 뿐 다른 고려는 없었다”고 주장했다. 김태흠 새누리당 원내대변인은 “남재준 국정원장의 고심 어린 결단으로 본다”고 했고, 윤상현 원내수석부대표도 “(공개에 앞서 여당과) 전혀 협의가 없었다. 남재준 원장이 소모적인 논란을 피하기 위한 차원에서 공개한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정국에 엄청난 후폭풍을 몰고올 게 불 보듯 뻔하고 남북관계와 국익에도 심대한 악영향을 끼칠 수밖에 없는 남북정상회담 대화록 공개를 국정원 차원에서 ‘결행’했다는 것은 상식적으로 이해하기 힘들다는 게 정치권의 대체적인 시각이다. 대화록 공개가 이뤄진 시점도 ‘청와대 개입’ 정황을 뒷받침한다는 분석이 나온다. 일단 박 대통령이 “여야가 제기한 국정원 관련된 문제들에 대해서 국민 앞에 의혹을 밝힐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는 발언을 한 직후 국정원의 전격적인 행동이 취해졌다는 점이 석연치 않다는 게 중론이다. 청와대의 지시가 있었거나 최소한 청와대와 사전교감이 이뤄졌을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만약 박 대통령의 이런 발언 이후 국정원이 청와대와 상의 없이 독단적으로 대화록을 공개한 것이라면, 선거개입·정치관여로 국정원 개혁 요구가 높아지는 상황에서 지난 20일 대화록 발췌본을 여당 정보위원들에게 무단 열람시킨 뒤 불법성 논란까지 가열되자 국정원 조직을 보호하기 위해 대통령에 대한 ‘항명’에 나섰다고밖에 해석할 수 없기 때문이다.
|
|
|
박근혜 대통령이 24일 청와대에서 열린 수석비서관 회의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