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80년 5월29일 광주시 북구 망월동 묘역(3묘역)이 조성돼 청소차에 실려 온 5월 희생자들의 주검을 옮기고 있다.
|
젯상도 못차리던 ‘금단의 땅’…한국 민주주의 상징
1980년 5월 신군부가 5·18 희생자들의 주검을
청소차에 싣고와 처리하려고 조성한 공간
이후 이한열·강경대 열사 등 학생·노동운동
희생자들의 주검도 묻히게 돼…‘민주 성지’로 인식
‘박근혜 대통령 사퇴, 국가정보원 사건 특검 실시’를 요구하며 분신한 이남종(41)씨의 주검이 4일 광주시 북구 망월동 구 묘역에 안장된다. 전남 구례 출신인 고인은 광주 서강고와 조선대를 졸업했으며, 학사장교로 군 생활을 한 뒤 광주에서 어머니와 함께 살며 편의점 매장관리 등을 하며 공무원 시험준비를 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시국회의 등 시민·사회단체는 고인을 민주열사로 규정하고, 유족들과 상의해 장지를 망월동 묘역으로 결정했다. 광주장례위원회는 4일 오후 3시30분부터 광주시 동구 옛 전남도청 앞 금남로에서 노제를 지내기로 했다. 이씨의 하관식은 4일 오후 5시 열린다. 광주광역시의회는 논평을 통해 “이 불행한 사태는 불통과 독선의 정치가 낳은 비극이 아닐 수 없다. 거꾸로 가는 역사가 한 생명을 앗아간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씨가 안장될 망월동 구 묘역은 대한민국 민주주의의 상징같은 곳이다,
“만감이 교차하네요. 시간이 멈춰선 망월동 구 묘역은 군부가 만든 시궁창같은 공간인데, 추모객들이 꽃을 피운 곳이지요. ”
박구용 전남대 교수(철학과)는 “여전히 시민들은 망월동 구 묘역을 역사의 상징적 장소로 여기고 있다. 5·18정신이 세상에 온전히 구현됐다면 망월동 묘역의 상징성은 끝난다. 망월동 묘역은 사람들에게 잊혀져 가고 있지만 상징성은 사라지진 않는다”고 말했다.
|
희생자들을 묻기 위해 파놓은 묘지 구덩이
|
|
희생자들의 주검이 안치된 관.
|
|
80년 5월의 절대공동체를 상징하는 옛 전남도청 앞 분수대의 시민대토론회 모습.
|
|
80년 5·18민주화운동 당시 시장 상인들이 시민군들을 위해 주먹밥을 만들려고 밥을 짓고 있다.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