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2일 인천시청 앞에 마련된 일반인 희생자 정부합동분향소에서 한 인천시 직원이 분향소를 지키고 있다. 인천/김봉규 선임기자 bong9@hani.co.kr
|
[세월호 100일]
인천시청 앞 분향소 한산
유족들 “정부 지원 조건 안 맞아”
절반은 긴급복지자금도 못 받아
“그동안 참았던 불만 폭발 직전”
“늦게 찾아와 죄송하다고 적었어요.”
23일 오전 인천시 남동구 인천시청 앞 미래광장에 마련된 세월호 일반인 희생자 합동분향소에 분향을 하고 노란 리본에 추모글을 쓰고 있던 장아무개(32·인천시 부평동)씨는 흐르는 눈물을 닦으며 이렇게 말했다. 장씨는 “희생자들과 직접 관련은 없지만 세월호 참사를 보며 너무 가슴이 아팠다. 너무 늦게 왔다는 생각에 분향을 하는데 갑자기 눈물이 쏟아졌다”고 말했다.
많은 사람들이 ‘세월호’ 하면 경기 안산 단원고 학생과 교사들, 그리고 안산 화랑유원지에 마련된 세월호 희생자 정부 합동분향소를 떠올린다. 세월호 승무원과 아르바이트생, 중국 동포 등 일반인 희생자 36명의 영정과 위패는 인천 합동분향소에 모셔져 있다. 일반인 희생자 43명 중 아직 실종 상태인 3명과 종교적인 이유 등으로 꺼린 4명은 빠졌다. 일반인 희생자 중에는 제주도로 2박3일 환갑기념여행을 떠났던 인천 용유초등학교 동창생들이 10명으로 가장 많다.
지난 4월29일 문을 연 일반인 희생자 합동분향소에는 지금까지 4만3300여명의 조문객이 찾았다. 이들이 남긴 깨알 같은 추모글들은 분향소 안을 가득 채웠고, 밖에도 노란 리본이 걸려 있었다. ‘살아 돌아오라’는 염원과 ‘세월호를 잊지 않겠다’는 다짐을 담은 글들이다.
|
세월호 참사 100일을 앞둔 23일 오후 진도 팽목항에서 한 시민이 아직까지도 돌아오지 못한 10명의 이름과 형상을 작은 배에 실어 조속히 돌아오길 기원하는 배를 만들어 놓고 있다. 진도/김봉규 선임기자 bong9@hani.co.kr
|
|
세월호 참사 100일을 하루 앞둔 23일 밤 진도 팽목항에서 세월호 참사 국민대책회의 주최로 열린 ‘기다림의 염원 촛불’ 문화제에서 참석자들이 희생자들의 넋을 위로하고 있다. 진도/김봉규 선임기자 bong9@hani.co.kr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