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에마뉘엘 르파주.
|
프랑스 만화가 에마뉘엘 르파주
작년 부천국제만화축제 작품상
올 축제서 <체르노빌의 봄> 특별전
2008년 체르노빌 파견돼 작업
“르포르타주로 해석 말아줬으면”
비극에도 지속되는 삶의 감동 담아
흑백·채색 나눠 비극·생명 표현
빛바랜 청백색 셔츠 오른쪽 주머니에 노란 리본이 달려 있었다.
“세월호 유족을 찾아갔었어요?”
“네.” 한국을 처음 찾은 프랑스 만화가는 담담했다.
“어떤 느낌을 받았나요?” 궁금했다.
“다른 것을 할 수 없기에, 유족들은 진실을 요구하며 그렇게 싸우는 겁니다. 그들의 싸움은 애도의 한 방식이에요. 그런 비극적인 상황에서 자식을 잃은 부모라면, 문화가 어떻든 그렇게 할 수밖에 없습니다.” 한국과 프랑스의 문화가 전혀 다르지만, 깊은 공감을 느낀다고 했다. 자신이 주요하게 다뤄온 “진실을 요구하는 싸움 속에서 피어나는 희망과 휴머니티”라는 주제와도 맞닿아 있다고 했다.
에마뉘엘 르파주는 한국에 그리 널리 알려진 만화가는 아니다. 일부 애호가들이 1976년 니카라과 내전을 다룬 <게릴라들>을 통해 그를 인식했다. 지난해 3월 <체르노빌의 봄>(맹슬기, 이하규 옮김/길찾기 펴냄)이 출간됐고, 그해 8월 부천국제만화축제 해외작품상을 수상하면서 주목받기 시작했다.
경기도 부천시 한국만화박물관에서 13일 그를 만났다. 이날 개막한 부천국제만화축제에선 <체르노빌의 봄>을 조명하는 특별전이 열리고 있었다.
많은 사람들은 이 작품을 ‘르포르타주 만화’의 전형으로 분류한다. 500만명이 방사능에 피폭되고, 2만5천명이 목숨을 잃은 것으로 추정되는 1986년 4월26일 체르노빌 원자력발전소 폭발. 그로부터 22년이 지난 2008년 4월, 문화예술로 세상을 바꿀 수 있다고 믿는 프랑스 ‘데생악퇴르’(Dessin’acteurs·활동하는 데생)는 회원인 그를 체르노빌에 파견했다. 스스로 작품 속에 체르노빌 파견 제안에 ‘르포르타주를 해볼 기회가 생겼다’며 ‘증언자, 행동가, 투사가 될 것’이라고 적었다.
하지만 그는 <체르노빌의 봄>을 원전의 위험성을 고발하는 르포르타주로 해석하지 말라고 했다. “이 작품에는 원전에 대한 특정 메시지나 객관적 진실을 전하려는 어떤 의도도 없습니다.” 뜻밖의 답변이었다.
|
만화 <체르노빌의 봄> 한 장면.(위) 13일 개막한 부천국제만화축제에선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폭발 현장을 찾아 그곳에서 움트는 희망을 그려낸 에마뉘엘 르파주의 만화 <체르노빌의 봄>을 조명하는 특별전이 열리고 있다. 부천/김성광 기자 flysg2@hani.co.kr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