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분석 ‘세월호법’ 왜 꼬였나]
‘교통사고’ ‘노숙자’ 취급 여당
국조특위 파행에 학습효과
‘대화없는 합의’ 야당에도 책임
가족 총회 “재합의안 반대” 결론
여야가 세월호 특별법에 재합의한 이튿날인 20일 ‘세월호 참사 희생자·실종자·생존자 가족 대책위원회’는 안산 경기도립미술관에서 총회를 열어 여야의 재합의안을 거부하고 수사권·기소권을 부여하는 내용의 세월호 특별법 원안을 고수하기로 결정했다. 여야의 재합의안에 대한 강경한 거부였다.
18일 여야의 재합의안은 여당이 야당과 유족들의 ‘사전동의’를 전제로 특별검사 후보 추천위원을 지명하도록 한 것으로, 지난 7일 합의됐다가 파기된 1차 안보다는 유족들의 뜻이 더 반영된 안이었다. 그러나 유족들은 이마저도 거부했다. 믿을 수 없다는 거였다. 유족들은 “여당은 자신들의 뜻에 맞는 사람들만 계속 추천할 것이고, 우리는 계속 거부할 수밖에 없다. 그러면 특검 후보를 추천할 사람을 뽑는 과정부터 난관에 부닥칠 것”이라고 했다. 결국 가족대책위는 투표를 통해 협상 전에 자신들이 제시했던 특별법 원안을 선택했다.
유족들의 불신은 ‘세월호 국정조사특위 학습효과’가 먼저 키웠다. 세월호 국조특위는 출범 직후부터 증인과 기관보고 대상을 놓고 여야가 대립만 거듭하더니, 현장조사까지 따로 다녔다. 어렵사리 기관보고가 실시됐지만 권력의 정점에 있는 청와대와 총리실은 대부분의 자료 제출 요구를 거부했다. 지난 4일 시작하기로 했던 세월호 청문회는 증인 출석 문제를 두고 벌어진 여야 다툼으로 18일로 연기됐다가 결국 무산됐다. 그사이 세월호 특별법을 협상하던 주호영 새누리당 정책위의장은 세월호 참사는 ‘기본적으로 교통사고’라며 사고의 의미를 폄하했다. 7·30 재보궐선거 대승 직후 김태흠 의원은 국회에서 농성중인 유족들을 ‘노숙자’라고 비하했다.
유족들의 뜻을 받들겠다던 새정치민주연합은 지난 7일 유족들과의 충분한 상의 없이 여당과 특별법에 합의해 ‘배신의 결정타’를 날렸다. 그동안 유족들과 함께 울고, 걷고, 단식했던 의원들의 노력은 수포로 돌아갔다. 박영선 새정치연합 원내대표와 가까운 한 의원은 “재합의안 내용을 잘 설명한다면 유족들이 이해할 수 있을지 모른다. 문제는 우리의 말을 믿어주느냐다. 우리는 유족들에게서 너무 멀리 와버렸다”고 말했다.
|
오후에 박근혜 대통령과의 면담을 요구하며 청와대 분수대 앞까지 걸어갔던 김씨가 경찰에 가로막히자 허탈해하고 있다.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