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렇게라도 위로할 수 있다면… 세월호 참사 1주기인 16일 저녁 서울시청 앞 서울광장에서 열린 ‘4·16 약속의 밤’ 행사에서 주최 쪽 추산 5만명(경찰 추산 1만명)에 달하는 시민들이 세월호 희생자들을 추모하고 있다. 공동취재사진
|
서울광장 메운 시민들 “잊지 않았단걸 알리려 왔어요”
서울광장서 대규모 추모제
유가족과 슬픔 함께 나누고
정부에 진상규명 목소리 높여
“컴컴한 세월호 안에는 사람이 있다. 딸이 미치도록 보고 싶다.”
1년째 ‘실종’ 상태인 허다윤양의 아버지 허흥환씨가 울먹이며 말했다. “다윤이 아빠 힘내세요!” 광장에 모인 수만명의 시민들이 외쳤다. 허씨는 “국가가 국민을 버린다면 국가는 필요 없다”며 시민들에게 큰절을 했다.
고 최윤민양의 언니 최윤아(24)씨는 “미안하다는 말을 많이 들었다. 그런데 정작 미안해야 하는 사람은 미안하다고 안 한다. 대통령께 부탁드린다. 제발 무엇이 중요한지 우선순위를 다시 정해주면 좋겠다”고 했다.
세월호 참사 1주기를 맞은 16일 저녁 서울시청 앞 서울광장에서 정부가 내놓은 세월호특별법 시행령안 폐기와 세월호 선체 인양 공식 선포를 촉구하는 ‘4·16 약속의 밤’ 추모제가 열렸다. 유가족 230명 등 주최 쪽 추산 5만명(경찰 추산 1만명)이 모인 추모제에서 참석자들은 정부의 미온적 태도를 질타하며, 이날 중남미 4개국 순방을 떠난 박근혜 대통령을 향해서도 날선 비판을 했다. 전명선 세월호가족협의회 운영위원장은 “대통령은 우리 가족들을 피해 팽목항으로 갔고 잠시 머무르며 대국민 담화만 발표하고 외국으로 떠나버렸다. 국민의 대표로서 대통령은 없는 것 같다”고 했다.
|
세월호 참사 1주기를 추모하는 문화제 ‘4·16 약속의 밤’이 열린 16일 밤 서울광장에서 유족들이 눈물을 흘리고 있다. 이정아 기자 leej@hani.co.kr
|
|
세월호 참사 1주기인 16일 저녁 서울시청 앞 서울광장에서 ‘4·16 약속의 밤’ 범국민 추모제를 마친 유가족과 시민들이 광화문광장에 마련된 분향소로 헌화하러 가기 위해 나섰다 경찰 차벽에 막히자 유족들이 종로2가 도로를 막은 경찰 차벽 위에 올라 정부가 내놓은 세월호특별법 시행령안 폐기를 촉구하고 있다. 김성광 기자 flysg2@hani.co.kr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