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6일 베를린에서 세월호 피해자인 예은이 아빠 유경근씨, 시연이 엄마 윤경희씨가 에스토니아호 유족을 만나 베를린 교민, 유학생들과 함께 포츠다머플랏츠 앞을 행진하며 진상규명을 요구하는 캠페인을 벌였다. 한주연 통신원
|
세월호·에스토니아호 유족 동병상련
베를린서 포츠담광장 등 행진
서로 위로하며 연대투쟁 다짐
6일(현지시각) 오후 5시께, 독일 베를린 노이쾰른의 한 비탈길. 담장 창살에 묶인 노란 리본들이 바람에 흔들린다. 4·16연대 유가족과 에스토니아호 유가족, 베를린 교민, 유학생들이 함께 베를린 시내 가두행진을 마치고 간담회 행사장인 문화제작소로 가는 길이다. 앞서 이날 오후 3시에는 에스토니아호 유족 레나트 노르드, 마리 노르드 부부와 세월호 피해자인 예은이 아빠 유경근씨, 시연이 엄마 윤경희씨가 만나 베를린 교민, 유학생들과 함께 포츠다머플라츠와 브란덴부르크문 앞을 행진하며 진상 규명을 요구하는 캠페인을 벌였다.
이날 150여명의 현지 유학생과 교민이 모인 간담회에서 세월호와 에스토니아호 유족들은 서로 위로하고 연대를 다짐했다. ‘에스토니아호 참사’는 1994년 9월27일 에스토니아 탈린에서 스웨덴 스톡홀름으로 향하던 에스토니아호가 침몰해 전체 승선자 989명 중 852명이 숨진 사건이다. 국제조사위원회가 구성돼 진상조사를 했으나, 유족들은 22년이 지난 지금까지 진실 규명을 위해 애쓰고 있다. 에스토니아호 참사로 어머니를 잃은 노르드는 “참사 3년 뒤 나온 최종보고서는 완전하지도 않을 뿐 아니라, 거짓이었다. 10~12년 지난 뒤에야 그 배 안에 무기가 있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철저한 진실 규명을 위해 스웨덴 정부를 상대로 싸우고 있다”고 밝혔다. 유경근 4·16연대 집행위원장도 “유족들이 일상으로 돌아가기 위해 진실을 밝혀야 한다. 왜 정부는 모두 납득할 수 있는 법적 절차를 방해하는지 무엇을 숨기고 싶은 것인지, 20~30년이 걸리더라도 진실을 밝힐 때까지 끝까지 싸워 나가겠다”고 말했다.
|
4.16 연대, 에스토니아호 유가족 노르드씨가 베를린 시내에서 가두시위를 벌이고 있다. 사진 한주연 통신원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