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도 올라오고 참사 3주기 넘었지만
안전 공원·교육시설 등 참사 추모 사업은 난항
세월호가 인양되고 참사 3주기도 지났는데도 희생자 추모와 안전사회를 위한 시설 조성은 난항을 겪고 있다.
18일 경기도 안산시 등의 말을 종합하면, 국무조정실은 2015년 9월 ‘세월호 참사 피해구제 및 지원 등을 위한 특별법’에 따라 희생자 추모공원, 기념관 등을 갖춘 추모시설을 조성한다며 안산시에 의견 제출을 요청했다. 이에 시는 지난해 7월 유가족, 시민사회단체, 주민대표, 건축·조경 전문가, 국무조정실 등 관계자 24명으로 추모사업협의회(이하 협의회)를 꾸려 주민경청회와 토론회를 열고 수차례 회의를 했다. 협의회는 주민 다수의 의견을 바탕으로 화랑유원지와 단원고 뒷산, 단원고 앞 원고잔공원, 꽃빛공원(와동 옛 시립묘지), 하늘공원(부곡동 시립추모공원) 등 5곳으로 안전공원 입지 후보지를 압축했다.
유족들은 이와 관련해 화랑유원지 내 오토캠핑장 주변에 희생자 유해를 안치할 수 있는 봉안시설과 추모시설을 갖춘 4·16 안전공원을 조성할 것을 요구한다. 그러나 주민들은 “공원조성 자체는 반대하지 않지만, 참사 직후부터 유원지에 분향소가 운영됐다. 봉안시설까지 들어오면 안된다”며 시 외곽 공원 설치를 주장하고 있다.
이 때문에 국무조정실은 지난달 중순까지 시에 입지 의견을 제출해달라고 요청했다. 안산시는 상반기까지 주민과 유족과의 입지문제 이견을 좁혀 협의를 이어갈 방침이지만 합의를 끌어낼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
지난해 11월 경기도 안산시 고잔동 경기도 안산교육지원청 별관으로 임시이전한 ‘4.16 기억교실’에 희생 학생들의 유품이 정리되어 있다. 안산/이정아 기자 leej@hani.co.kr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