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17.06.13 17:28
수정 : 2017.06.13 20:00
|
13일 오후 전남 목포신항 사무실에서 열린 세월호 선체조사위원회 5차 전원위원회의에서 김창준 위원장(왼쪽)이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연합뉴스
|
13일 전원회의서 국과수 의뢰안 부결돼
공정성·신뢰성 확보 위해 민간업체에 맡기기로
화물칸 수색 전 레이저빔으로 선체 3차원 촬영
|
13일 오후 전남 목포신항 사무실에서 열린 세월호 선체조사위원회 5차 전원위원회의에서 김창준 위원장(왼쪽)이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연합뉴스
|
세월호에서 수거한 휴대전화의 디지털 정보 복원이 국가기관이 아닌 민간업체에서 이뤄지게 됐다.
세월호 선체조사위원회(선조위)는 13일 목포신항에서 위원 8명 중 6명이 참석한 전원회의를 열었다. 선조위는 이날 선체에서 수거한 휴대전화의 디지털 정보를 복원할 때 공정성과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이후 국과수)이 아닌 민간전문업체에 작업을 맡기기로 결정했다.
선조위는 복원을 국과수에 맡기는 방안을 토의했으나 과반수가 찬성하지 않아 부결시켰다. 이는 민간업체에 정보 복원을 맡긴다는 결정이다. 선조위는 최근 두 차례에 걸쳐 국과수에 유사사례, 전문인력, 소요기간 등을 문의해 아시아나 화물기 추락 때 침수된 휴대전화를 복원했고, 휴대전화와 블랙박스의 디지털 정보를 복원하는 원천기술을 보유하고 있다는 답변을 받았다. 복원에는 보름 정도 걸리고 국가기관이어서 비용은 들지 않는다는 반응을 얻었다. 하지만 복원 때 참관인 참석과 폐회로카메라(CCTV) 촬영을 허용해 달라는 제안은 거부당했다.
선조위는 복원 과정이 공정하고 투명하게 이뤄져야 한다는 유가족의 의견을 중시해 이런 결정을 내린 것으로 분석된다. 인양 이후 세월호에서 수거한 휴대전화는 113점이고, 이 가운데 초기에 나온 15대는 민간업체에 맡겨 복원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현재까지 9대의 문자와 사진 등 정보가 복원됐다.
선조위는 또 선체 1~2층 화물칸 수색을 앞두고 레이저 빔을 활용해 선체 내·외부를 3차원으로 촬영하기로 했다. 3차원 기술을 활용하면 지면에 맞닿은 좌현과 진흙이 7m 쌓인 화물칸 내부를 정밀하게 기록할 수 있다. 화물칸을 수색할 때 구멍을 뚫고 절단을 하는 작업에 대비해 원래 모습을 기록한다는 의미도 갖는다. 세월호 화물칸에는 승용차와 승합차 124대, 화물차 52대, 특수차 9대 등 차량 185대가 실렸고, 각종 화물을 들어있는 컨테이너도 105개에 이른다.
안관옥 기자
okahn@hani.co.kr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