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18.02.20 10:43
수정 : 2018.02.20 21:17
|
세월호 안산 추모공원이 들어설 경기도 안산시 화랑유원지 전경. 가운데 정부 합동분향소가 있다.
|
제종길 안산시장 “더 지연되면 더 큰 갈등 될 수도”
안산시, 이날부터 세월호 현수막과 천막 정비 나서
정부합동분향소는 올해 4월 영결식 뒤 철거 건의
한국당 안산시 의원들 “광화문에 지어라” 반대 나서
|
세월호 안산 추모공원이 들어설 경기도 안산시 화랑유원지 전경. 가운데 정부 합동분향소가 있다.
|
세월호 참사로 희생된 단원고 학생과 교사를 기릴 세월호 추모공원이 경기도 안산시 화랑유원지의 정부합동분향소 옆에 조성된다. 세월호 특별법에 따라 정부가 세월호 희생자 추모공원을 조성키로 한 지 2년 5개월여만이다.
제종길 경기 안산시장은 20일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안산지역 추모공원은 현재 정부합동분향소가 위치한 화랑유원지의 한 곳에 희생자 봉안시설을 포함해 조성하겠다”고 밝혔다. 안산시는 이를 위해 추모공원 조성을 위한 50인 위원회를 구성해 세부 계획을 짜고 추모공원은 국제공모를 통해 친환경적으로 디자인하기로 했다.
제 시장은 아울러 “안산에서 세월호 관련 설치물을 정비하고 정부합동분향소는 오는 4월16일 세월호 희생자 합동 영결식 뒤 정부에 철거를 요구하겠다”고 밝혔다. 기자회견 뒤 안산시는 이날부터 안산지역 세월호 관련 현수막과 천막 정비에 나섰다.
제 시장은 “추모공원 조성 지연이 지역 내 더 큰 갈등으로 비화할 우려가 있어 어려운 결단을 내리게 됐다. 지역 주민들에게도 도움이 되는 쪽으로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정부는 2015년 9월 세월호 추모공원 조성을 위해 실무위원회를 꾸려 논의해왔으나, 대상지 선정을 놓고 지역 내 찬반 의견이 팽팽해 2년 이상 해법을 찾지 못했다.
위성태 4·16안산시민연대 사무국장은 “추모공원 조성에 대한 구체적 정보와 이해 부족이 주민 갈등의 원인이 돼왔다. 주민과의 대화를 통해 이 공원이 지역사회를 어떻게 발전시키고 변화시킬지 설득하는 과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
20일 국회에서 제종길 경기도 안산시장(가운데)이 전해철 의원(오른쪽에서 두번째), 김철민(왼쪽에서 첫번째) 의원 등이 참석한 가운데 세월호 추모공원 조성 계획을 밝히고 있다.
|
하지만 이날 제 시장의 발표에 대해 안산시 자유한국당이 즉각 반대투쟁을 선언해 앞으로도 추모시설 조성에는 험로가 예상된다. 이날 자유한국당 소속 안산시 의원 8명은 시 의회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추모공원을 지으려면) 촛불이 시작됐고 많은 시민이 찾는 서울 광화문광장이 적합하다. 시민을 무시한 일방적인 이번 결정을 절대 수용할 수 없다. 강력히 투쟁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국당의 반대 외에도 화랑유원지는 안산의 중심지역이어서 주민을 설득하는 것도 관건이다. 실제로 지난해 7월 한 시민단체가 화랑유원지 내 추모시설 건립 반대 서명지를 시에 냈는데 모두 3만3천여명이었다. 이는 같은 시기 4·16안산시민연대가 추모시설 조기 설립을 촉구하는 시민들의 서명을 받은 숫자와 같은 수준이다.
2014년 4월16일 세월호의 침몰에 따른 희생자는 모두 304명이며, 이 가운데 단원고 학생은 250명이다. 또 당시 사고로 숨진 교사도 참사 직후 스스로 목숨을 끊은 교감을 포함해 12명에 이른다.
글 홍용덕 김기성 기자
ydhong@hani.co.kr, 사진 안산시 제공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