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불법 대선자금 박근혜 대통령 수사 및 이완구 총리 사퇴 촉구 기자회견이 15일 오전 서울 광화문 정부서울청사앞에서 열려 한국진보연대 회원 등 참가자들이 이완구 총리, 이병기 비서실장 사퇴를 촉구 하고 있다. 신소영 기자 viator@hani.co.kr
|
“숫자나 기록에 철저했던 사람
가까운 누군가에 맡겼을 것”
“중요내용 메모지 썼다가 폐기
장부는 들은적도 본적도 없어”
측근들도 존재 여부 싸고 엇갈려
검찰 “자신 목죌 증거 남겼겠나”
‘성완종 리스트’ 수사와 관련해 성완종 전 경남기업 회장이 정치권 로비 내역 등을 담은 ‘비밀장부’를 남겼는지 여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성 전 회장이 숨지기 전 언론 통화와 몸에 지니고 있던 메모를 통해 정치권 인사들에게 돈을 건넸다고 밝혔지만, 홍준표 경남지사와 이완구 국무총리를 제외하면 언제, 어떤 방식으로, 얼마를, 어떤 명목으로 전달했는지를 알 수 있는 구체적인 정황은 드러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또 홍 지사를 제외하고는 중간전달자의 존재도 확인되지 않고 있어 금품전달 상대와 시기, 장소 등을 담은 별도 비밀장부가 나타나지 않는 한 수사가 답보상태에 빠질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과거 주요 사건 수사에서 메모나 일지(다이어리), 비망록의 덕을 본 적이 있는 검찰은 이번에도 그런 자료가 나와줬으면 하고 기대하는 눈치다. 지난해 ‘강서 재력가 피살사건’ 수사에서 실마리를 풀어준 것도 피살자가 날마다 기록한 ‘매일기록부’라는 이름의 비밀장부였다.
비밀장부의 존재 여부를 두고서는 성 전 회장의 측근들 사이에서도 말이 엇갈린다. 일부는 초등학교 중퇴 학력에 거의 맨손으로 자수성가한 성 전 회장의 꼼꼼한 성격을 들어 비밀장부의 존재 가능성에 무게를 뒀다. 경남기업의 한 관계자는 “성 전 회장은 숫자에 관한 한 철저한 사람이다. 다이어리나 달력도 자기 손으로 꼼꼼하게 기록했다. 가까운 사람이나 장부를 정치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힘있는 사람에게 맡겼을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
이완구 국무총리가 지난 2013년 12월 3일 당시 새누리당 세종시 지원 특위 위원장이었던 시절 의원 신분이었던 성완종 전 경남기업 회장과 함께 정부세종청사 2단계 공사현장을 둘러보고 있다. 세종/연합뉴스
|
댓글 많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