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적연금 강화’ 발목잡은 주무부처
공무원연금 개편안 처리가 무산되며 여야가 어렵사리 합의한 국민연금 강화 방안에 관한 논의도 멈췄다. 여야 합의가 물건너간 1차적 책임은 ‘국민연금 명목소득대체율 50% 명문화’를 거부한 새누리당한테 있지만, 보험료 2배 인상론과 미래세대 부담론 등을 내세우며 세대간 갈등에 불을 지핀 보건복지부의 책임도 결코 적지 않다는 지적이다. 국민연금 주무 부처인 복지부가 지나치게 재정 안정화만을 강조하는 편향된 시각으로 정치권의 혼선과 연금정책에 관한 국민의 불신을 키웠다는 분석도 나온다. 소득대체율 상향 등 국민연금 강화에 관한 여야 합의를 원점으로 되돌린 결정적 요인은 보험료 두배 논란이었다. 이를 촉발시킨 장본인은 문형표 복지부 장관이다. 문 장관은 여야 합의가 이뤄진 2일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를 만난 자리에서 “소득대체율을 50%로 올리려면 보험료를 두배 수준으로 올려야 가능하다. 보험료를 두배 올릴 자신 있느냐. 그렇게 하지 못하면 포퓰리즘이 된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문 장관의 ‘보험료 두배’ 발언은 많은 언론을 통해 확대·재생산됐다. 이는 소득대체율 10%포인트 상향 변수에 더해 2100년 이후에도 국민연금 기금을 보유한다고 가정했을 때나 성립이 가능한 주장인데도, 마치 소득대체율을 10%포인트 올리는 것만으로 보험료 두배 인상의 결과가 빚어지는 것으로 여권과 일부 언론은 받아들였다. 문형표 장관 ‘10%p 비용’ 부풀려‘보험료 2배 인상론’ 적극 전파
뒤늦게 “3.5~4%p 올리면 가능” 여야합의 전후 줄곧 제동 걸어
‘부과방식, 세대간 도적질’ 비유
‘미래세대 부담’ 세대갈등 촉발도 문 장관의 ‘보험료 두배’ 발언은 관점에 따라 틀릴 수도 있다는 게 7일 그의 입을 통해 드러났다. 이날 서울 마포구 국민건강보험공단 기자실을 찾은 문 장관은 “연금제도의 안정성을 따져볼 때, 국민연금의 소득대체율을 10%포인트 올리려면 3.5~4%포인트 정도의 보험료 인상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현행 소득대체율(40%)을 여야 합의대로 50%까지 올린다면 추가로 필요한 보험료는 3.5~4%포인트라는 설명이다.
|
국민연금 소득대체율 인상 논의 경과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