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황교안 국무총리 후보자가 27일 오전 경기 정부과천청사 법무부 건물로 출근하고 있다. 과천/신소영 기자 viator@hani.co.kr
|
총리 후보자의 ‘찔끔 기부’ 진정성 논란
“제가 자꾸 말씀을 드리는 것보다는 행동으로 보여 드리는 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황교안 국무총리 후보자는 2013년 2월28일 법무부 장관 후보자 국회 인사청문회에서 기부를 행동으로 보여주겠다고 약속했다. 당시 박지원 의원이 “정동기 전 감사원장 후보는 6개월간 7억원, 정홍원 국무총리는 2년간 6억7000만원을 받아 전관예우가 문제가 됐다. 황 후보자는 한달에 1억원씩 16억원의 전관예우를 받았다”고 추궁하며 “정 총리는 자기가 받은 전관예우의 6~7분의 1을 사회에 내놨다고 한다. 기부할 용의가 있느냐”고 묻자 내놓은 답변이었다. ‘화끈한 기부’를 기대했지만, 황 후보자의 국회 인사청문자료에 나타난 지난 2년치 기부금은 1억3000여만원 정도다. 독실한 개신교 신자인 황 후보자가 ‘십일조’에도 못미치는 액수를 사회에 내놓은 셈이다. 2013년 장관 청문회때 수임료 논란“행동으로 보여드리겠다” 말했지만
2년간 기부액 수임료의 10%도 안돼
면피성 발언 드러나…비판일듯
안대희, 낙마에도 11억 기부 ‘대조적’ 황 후보자는 총리 인사청문회를 앞두고 본인과 아내, 최근 결혼한 딸 한명(아들 재산은 공개 거부)의 재산으로 모두 22억9835만원을 신고했다. 2013~2014년 ‘근로소득 원천징수영수증’에는 황 후보자가 ‘기부 약속’ 뒤 법무부 장관으로 재직하면서 낸 기부금 액수가 나온다. 장관 첫해인 2013년에 낸 법정기부금은 1억110만여원, 지정기부금은 1568만여원이다. 이듬해에는 법정기부금 305만여원과 지정기부금 1036만여원을 냈다. 국가나 지방자치단체, 비영리재단 등에 내는 법정기부금을 기부 약속 첫해에는 1억원 넘게 내다가 이듬해에는 305만원 ‘찔끔 기부’를 했다. 반면 종교단체·사회복지단체 등에 내는 지정기부금은 액수 변화가 크지 않다.
|
황교안 국무총리 후보자 재산 및 병역 내역
|
광고

댓글 많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