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근혜 대통령이 29일 오전 청와대에서 열린 수석비서관회의를 주재하며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이정용 선임기자 lee312@hani.co.kr
|
새정치 ‘제왕적 대통령’ 비판
“유정회 의원에 지시하던 모습 보여”
문재인 등 유신시대에 빗대
“내년 총선 특정인 심판 요구 위법”
이종걸 “진영·채동욱도 찍어내”
새정치민주연합 지도부가 박근혜 대통령과 새누리당 친박근혜(친박)계의 ‘유승민 축출 시도’의 ‘위헌성’을 지적하면서, 박 대통령의 처신을 아버지 박정희 전 대통령의 유신 시절 행태에 빗대 맹공을 퍼부었다.
문재인 대표는 29일 최고위원회에서 박 대통령이 국회법 개정안에 대해 거부권을 행사할 당시 내세운 논리가 “삼권분립 원칙 훼손”이었음을 상기시킨 뒤 “박 대통령이 여당 원내대표에게 물러날 것을 종용하고 압박하는 것이야말로 국회의 자율적 원 구성을 간섭해 삼권분립을 무너뜨리는 위헌적 처사”라고 말했다. 문 대표는 이어 “내년 총선을 앞두고 특정인에 대한 심판을 국민에게 요구하고 나선 것은 선거법 위반 소지도 있다”고 지적했다. 지난 25일 국무회의에서 나온 박 대통령의 ‘배신의 정치를 선거에서 심판해달라’는 발언을 겨냥한 것이다.
전날 유승민 새누리당 원내대표를 향해 “바람(박 대통령의 탄압)은 곧 지나갈 것”이라고 했던 이종걸 원내대표는 “(박 대통령에게선 아버지) 박정희 대통령이 유정회(유신정우회)를 만들어 (소속) 국회의원에게 직접 지시하던 시절의 행동양식이 보인다”며 “(지금은) 대통령이 국회의원 한 사람 한 사람을 종속물처럼 지배할 수 있는 체제가 아니다”라고 박 대통령의 ‘시대착오적 인식’을 꼬집었다. 또 이 원내대표는 박 대통령을 향해 “‘배신의 정치’는 거울에 비친 (대통령) 자신의 행위를 두고 하신 말씀인 듯하다”며 “박 대통령은 이전에 진영 의원도 (보건복지부 장관에서) 찍어 냈고 채동욱 검찰총장도 찍어 내렸다. 이제 유승민 대표는 자기 갈 길을 가야 한다”고 말하기도 했다.
|
유승민 새누리당 원내대표가 29일 오후 국회에서 열린 긴급 최고위원회의를 마친 뒤 회의장을 나서며 기자들의 질문을 받고 있다. 이정우 선임기자 woo@hani.co.kr
|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