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긴장 최고조
북, 준전시상태 선언 ‘자승자박’
실제 타격땐 남 상응조처 불가피
북 허찌르면 대응 쉽지 않을수도
미·중 확전 제동 구실 가능성
북한이 대북 확성기 방송의 중단과 시설 철수 시한으로 정한 시점이 다가오면서 남북간 충돌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북한이 20일 전통문을 보내 ‘이날 5시부터 48시간 안으로’라고 스스로 시점을 못박은 만큼, 북한이 그냥 넘기기는 어려운 자승자박의 상황이 됐기 때문이다. 실제 북한은 이날 노동당 중앙군사위원회 비상확대회의를 열어, ‘준전시상태’를 선포하고 전군의 완전무장 명령을 하달했다. 북한은 과거 8차례 준전시상태를 선포한 전례가 있다. 가장 최근의 사례는 2010년 11월 연평도 포격 사건으로, 비상한 상황에서 철저한 군사적 대비태세가 필요하다고 느낄 때 준전시상태를 선포했다. 특히 1993년에는 3월8일 준전시상태를 선포하고 나흘 뒤 “핵무기확산방지조약(NPT)을 탈퇴하겠다”고 선언해 ‘1차 핵위기’를 초래했다. 북한이 그만큼 이번 사태를 엄중하게 보고 있다는 표시로 풀이된다. 김정은 노동당 제1비서가 직접 소집한 이 회의에서 인민군의 작전 진입 준비실태 점검, 군 전선사령부의 공격작전 계획 검토·비준이 이뤄졌다는 북한 보도는 사실상 22일 오후 5시 이후 상황에 대한 군사적 행동 계획을 수립했다는 뜻으로도 읽히는 대목이다.
반면, 남쪽도 비무장지대 지뢰 폭발 사건에 대한 보복 차원에서 대북 확성기 방송을 재개한 만큼, 북한의 위협에 밀려 대북 확성기 방송을 중단할 수는 없는 입장이다. 군당국은 실제 이날 대북 확성기 방송을 애초 계획대로 진행한 것으로 알려졌다.
|
서부전선 포격 충돌 이후 상황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