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황우여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앞줄 왼쪽)이 8일 국회에서 열린 국정감사에서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논란을 둘러싼 여야 대립으로 정회가 선언된 뒤 김재춘 차관과 이야기하고 있다. 김경호 선임기자 jijae@hani.co.kr
|
국정화 방침 논란 확산
새정치 “교육부, 출처 드러날까봐
원본공개 거부하는 것 아니냐”
교육부쪽 “2~3일 걸려 작성”
여권 인사 “교육부 만들 여력 없어
외부 단체에 의뢰한 것일 가능성”
검정 역사 교과서의 좌편향성을 주장해온 새누리당이 그 근거로 삼고 있는 자료의 출처가 정보기관 또는 우익단체로부터 나온 것 아니냐는 의혹이 야당에서 제기됐다. 교육부는 새누리당에 제공한 검정 교과서 분석과 집필진 성향 분석 등이 자체 제작한 자료라는 발언을 거듭하고 있지만 야당은 국가정보원 또는 뉴라이트 계열의 학회·단체들이 수집·축적한 정보를 짜깁기한 것을 건네받았다는 의심을 품고 있다.
안민석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은 9일 <한겨레>와의 통화에서 “교육부 내부 인사들의 말을 종합하면, 새누리당이 교육부로부터 받았다는 자료는 교육부에서 만들 수가 없는 정보다. 시간도 인력도 가능하지 않을뿐더러 정부에서 만들기엔 내용이 너무 이념 편향적”이라고 짚었다. 8일 <국민일보>와 <조선일보>는 교육부와 강은희 새누리당 의원실이 공개한 자료라며 ‘고교 한국사 교육부 교과서 분석’과 ‘검정 고교 역사교과서 집필진 현황분석 결과’ 등을 보도했다. 이날 열린 교육부 국정감사에서 김동원 학교정책실장은 “(새누리당) 강은희 의원실에서 교육부 역사교육지원팀장한테 관련 자료를 요구했고 역사교육지원팀에서 2~3일 걸려 작성했다”고 답했다. 야당 의원들이 “국회법에 따라 상임위원 3분의 1 이상이 요구하면 해당 부처는 관련 자료를 제출해야 한다”고 요구했으나, 황우여 교육부 장관은 “당에서 요구한 자료는 당에만 제출해야 한다”며 버텼다.
|
교육부가 2013년 내린 수정명령을 받았던 금성출판사, 미래엔, 천재교육, 지학사, 두산동아, 비상교육이 펴낸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 6종. 세종/연합뉴스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