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15.10.12 17:50
수정 : 2015.10.12 18:06
친일파, 이승만·박정희 등 기득권 세력 적극 옹호
“박정희식 독재로 고도성장” 아버지 셀프 미화도
|
뉴라이트 계열 지식인들이 주축을 이룬 교과서포럼이 3년여 준비 끝에 2008년에 출간한 ‘대안교과서 한국 근·현대사’ (서울=연합뉴스)
|
박근혜 정부가 국정화하려는 한국사 교과서는 어떤 모습일까. 미리 짐작해 볼 수 있는 모델이 있다. 2008년 뉴라이트 계열 학자들이 주축이 된 교과서포럼(공동대표 이영훈 박효종 차상철)이 펴낸 <대안교과서 한국 근·현대사>가 그것이다. 일제 식민통치 시절부터 지배 기득권 세력을 적극 긍정하는 내용이어서, 학계에서는 친일반민족세력과 이승만·박정희 반공독재체제를 추수하는 ‘과거 찬양서’라는 비판이 나왔던 책이다.
|
뉴라이트 대안교과서
|
예를 들면 96쪽 ‘식민지 한국 사회의 역사적 성격’을 논하는 부분에서는 “식민지 한국의 경제통계가 1980년대 말부터 한국과 일본의 경제학자들에 의해 정비되기 시작하였다. 그 결과 1910~1940년에 한국에서 일본과 동일한 속도로 연간 3.6%의 경제성장이 있었다는 사실이 명확해졌다”라는 대목이 등장한다. 뒷부분 "오늘날 한국 현대 문명의 제도적 기초가 그 과정에서 닦였음을 강조하는 또 다른 시각이 있다(식민지근대화론)”에서도 드러나듯, 일제 ‘덕분에’ 오늘날의 대한민국이 가능했다는 점을 강조한다.
|
뉴라이트 대안교과서
|
박정희를 서술하는 부분도 문제가 많다. 5·16에 대해서는 “군사 쿠데타”라고 서술하면서도 “그는 민주주의 관해 개인의 이기심에 기초한 서양식 자유민주주의가 아니라, 민족과 국가에 대한 헌신에 기초한 민주주의로서 민족의 새로운 역사를 개척하는 데 도움이 되는 민족적 또는 행정적 민주주의이어야 한다고 믿었다”는 대목이 등장한다. 독재의 가림막으로 기능했던 ‘한국적 민주주의’라는 정치적 구호를 비판 없이 전달하는 데 그친다. 또 ‘대한교과서’는 “그의 권위주의적 통치는 한국 사회에 역사적으로 축적되어 온 성장의 잠재력을 최대로 동원하는 역설적 결과를 낳았다”고 기술한다. 일제 덕분에 성장의 기초를 닦고 박정희식 독재로 “고도성장”이 가능했다는 주장이다.
친일과 독재를 미화하는 대안교과서는 단지 ’대안’이었고, 그 후속편 성격의 교학사 교과서는 여럿 중 하나였다. 그런데 국정화된, 박근혜식 ‘올바른 교과서’는 딱 하나다.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를 ‘21세기판 분서갱유’라고 비판하는 데는 그만한 후과가 우려되기 때문이다.
김보협 기자bhkim@hani.co.kr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