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민사회단체와 회원들이 19일 오전 서울 중구 태평로 언론회관 국제회의장에서 열린 ‘국정교과서 사태에 즈음한 시민사회 시국선언‘에서 시민들의 눈을 가리는 의미로 ‘국정교과서‘가 쓰여진 머리띠로 눈을 가리고 있다. 이들은 교육의 획일화와 위험한 역사왜곡을 가이번 시국선언에는 소설가 김훈, 조정래, 전 국사편찬위원회위원장 이만열, 함세웅 신부, 환경재단 최열 대표 등이 참여했다. 이들은 교육의 획일화와 위험한 역사왜곡을 강요하는 국정교과서제도를 즉각 중당할 것을 촉구했다. 김명진 기자 littleprince@hani.co.kr
|
‘교과서 검정제 등 교육개편 비준’
공산당 기관지 인터넷판서 확인
“선진교육 추세에 완전 부합” 평가
‘한국제도 배우자’ 수년전 사절단도
사회주의 국가인 베트남이 역사 과목을 포함한 전체 교과서를 ‘검정’으로 전환한 것으로 확인됐다. 그동안 베트남은 북한·방글라데시 등과 함께 국정제를 전면적으로 채택한 국가로 분류돼왔다. 사실상 공산당 일당 체제인 베트남마저 국정 교과서를 폐기하는 상황에서 박근혜 정부의 국정 교과서 전환은 세계적 추세를 거스르는 시도라는 비판이 거세질 것으로 보인다.
<한겨레>가 20일 베트남 공산당 기관지의 인터넷판인 <베트남 공산당 전자 신문>의 기사를 확인한 결과, 베트남 정부는 지난 4월20일 ‘하나의 교육과정과 다양한 교과서’를 핵심으로 하는 전면적인 교육과정·교과서 개편안을 비준한 것으로 밝혀졌다.
<베트남 공산당 전자 신문>은 이날치 기사에서 “정부가 비준한 교과서 개편안으로 더이상 유일한 독점 교과서 체제가 존재하지 못하게 된다”며 “개편안에 따라 2018~2019 학년도에, 하나의 표준교육과정 틀 안에 많은 출판사들에 의해 다양한 교과서들이 나와 각급 학교에서 가르치게 된다”고 전했다. 기사는 팜민학 전 베트남 교육개발부 장관의 말을 인용해 “이것은 선진 교육 추세에 완전히 부합하는 것”이라고 평가했다. 또 “학생을 중심으로 하는 새로운 교과서와 교육 프로그램에 중점을 둔 개편안은 학생들의 적극성과 주도성, 창조성을 발휘하게 하여 자기 주도형 학습을 가능하게 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
베트남 공산당 전자신문 사이트의 ‘교과서 개편’ 관련 기사.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