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근혜 대통령과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왼쪽 둘째)·원유철 원내대표(맨 왼쪽),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오른쪽 둘째)·이종걸 원내대표(맨 오른쪽)가 22일 오후 청와대에서 회동하고 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
이견만 확인한 1시간48분
웃으며 앉았지만 곧 한 치의 양보도 없는 격론이 시작됐다. 22일 청와대에서 1시간48분 동안 진행된 박근혜 대통령과 여야 대표·원내대표 ‘5자 회동’은 ‘교과서 토론’으로 회담의 40% 가까이를 채웠다.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가 모두(첫머리)발언을 통해 “국민들은 역사 국정교과서를 친일미화, 독재미화 교과서라고 생각한다. 또 획일적인 역사교육을 반대한다. 교과서 국정화를 중단하고 경제와 민생을 돌봐주길 바란다”고 포문을 열었다. 이어 이종걸 새정치연합 원내대표도 “국정 교과서 불복종운동이 일어나는 고시 예고 기간에 비밀리에 예산 편성을 하는 것은 국회 의회주의 본질을 침해하는 것”이라고 거들었다. 설전은 서로 말을 자르고 끼어들며 격렬하게 진행됐다고 한다.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가 “아직 책도 안 쓰였는데 왜 그런 발언을 하느냐. 이제까지 참아왔는데 그만하라”며 목소리를 높이자, 문 대표는 “박근혜 대통령이 칭찬했던 뉴라이트 교과서가 위안부 할머니에 관한 잘못된 기술을 비롯해 식민지 근대화론에 입각해 있지 않으냐. 국정 교과서가 그런 교과서가 되는 게 아니냐”고 따졌다고 한다.
야당과 ‘격투’를 벌이는 역할은 김 대표가 맡았지만, 박 대통령 역시 역사교과서에 대한 생각을 분명히 표현했다.
문 대표 “독재미화 교과서 될것”김 대표 “참아왔는데 그만하라”
여야 대표 서로 말자르며 논쟁
그 와중에 박 대통령은 할말만
“검정 교과서는 정통성 부인해”
|
역사교과서 국정화 관련 입장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