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바른 역사교과서 추진 저지 범국민대회. 이종근 기자
|
역사교과서 국정화 저지 4차 국민대회 빗속에 열려
“국정화, 과거 역사 문제 아닌 현재 민주주의 문제”
빗물로 흥건한 아스팔트 바닥에 그저 앉았다. 손에는 우산과 함께 색색의 야광봉을 들었다. 국정 교과서를 만들겠다는 정부의 공식 발표 뒤 맞는 첫 주말, 굵은 빗방울이 떨어진 서울 종로구 청계광장에는 ‘국정화 고시 철회’를 외치는 시민 2000명(경찰 추산 800명)으로 가득 찼다.
466개 시민사회·역사단체들이 모인 ‘한국사교과서 국정화저지네트워크’는 이날 ‘역사교과서 국정화 저지를 위한 4차 범국민대회’를 열고 “국정 교과서를 인정하지 않겠다”고 결의했다. 첫 발언자로 나선 권태선 환경운동연합 공동대표는 “박 대통령은 국민 대다수가 반대함에도 국정 교과서를 만들겠다고 확정 고시했다. 간신히 구해놓은 집필진이 성희롱 논란으로 사퇴할 정도로 국정 교과서의 추진 과정이 졸속이다. 국정화는 과거 역사의 문제가 아니라 현재 민주주의의 문제”라고 말했다. 장순향 서울민주행동상임대표도 발언을 이어가며 “국정 교과서가 만들어져도 국민들이 인정하지 않을 것이다. 정부는 국정화를 확정 고시했지만 우리는 철회 목소리를 그치지 않겠다”고 외쳤다. 발언을 들은 시민들은 ‘역사쿠테타를 멈춰라’, ‘가만히 있지 않겠습니다’등 손팻말을 들어 환호했다. 이날 집회에는 숙명여대 국정화저지모임 ‘역사적숙명’에서 5명의 학생들이 ‘국ㆍ정ㆍ화ㆍ반ㆍ대’라는 한 글자씩 쓰인 손팻말을 들고 나와 합창 공연을 펼쳤다.
|
올바른 역사교과서 추진 저지 범국민대회. 이종근 기자
|
|
올바른 역사교과서 추진 저지 범국민대회 사진. 이종근 기자
|
|
올바른 역사교과서 추진 저지 범국민대회 사진. 이종근 기자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