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근혜 대통령이 2일 낮 중국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정상회담을 마친 뒤 오찬장으로 이동하고 있다. 베이징/이정용 선임기자 lee312@hani.co.kr
|
한·중 정상 논의내용 뜯어보니
‘북 도발 자제’ ‘남북합의 이행’ 촉구
6자회담 조속한 재개 공감대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 지지 밝혀
“통일문제 심도있는 논의 있었다”
한국쪽 발표, 중국 발표문엔 없어
박근혜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정상회담은 이번이 여섯번째지만, 2일 회담은 이전 어떤 회담보다 더 주목받았다. 동맹국인 미국의 우려 기류를 무릅쓰고 중국의 ‘항일승전 70돌 열병식’에 미국 우방국 정상으로는 유일하게 참석하기로 하면서 만들어진 회담이었기 때문이다. 박 대통령으로서는 ‘결단’에 걸맞은 성과를 기대했음직하다.
이날 청와대가 발표한 정상회담 결과 보도자료를 보면, 몇몇 대목에서 이전 회담 때와는 달라진 표현과 합의가 눈에 띈다. 중국이 어느 정도 한국의 요구를 수용하는 모양새를 보인 것으로 풀이된다. 하지만 남북관계와 북핵 문제 등에서 본질적인 변화를 찾아보기 어렵다는 평가도 나온다.
한반도 정세와 관련해선 북한의 10월10일 미사일 발사에 대한 자제 요구로 볼 수 있는 대목이 포함됐다. 보도자료는 “양쪽은 9·19 공동성명과 유엔 안보리 관련 결의들이 충실히 이행되어야 할 것임을 강조하면서, 이와 관련해 긴장을 고조시키는 어떠한 행동에도 반대한다는 입장을 표명하였다”고 밝혔다. 김창수 코리아연구원장은 “맥락상 북한더러 핵실험이나 로켓 발사를 하지 말라는 촉구로 풀이된다”고 말했다. 또 박근혜 정부의 대북 정책인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에 대해서도 “금번 (남북간 8·25) 합의가 구체적인 행동으로 이행되어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가 가속화되기를 희망하였다”고 지지 의사를 밝혔다. 6자회담과 관련해서는 “의미있는 6자회담이 조속히 재개되어야 한다”고 밝혔다. 지난해 7월 정상회담에서 “의미있는 대화를 통해 한반도 비핵화의 실질적인 진전”이라고 한 것과 크게 다르지 않다.
|
한-중 정상회담 주요 논의 사항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