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근혜 대통령이 3일 오전(현지시각) 중국 베이징 천안문 성루 위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오른쪽),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함께 중국 인민해방군의 열병식을 지켜보며 박수치고 있다. 베이징/AFP 연합뉴스
|
[뉴스분석] 중국 전승절 열병식 외교
3일 오전 10시(현지시각) 푸른 가을 하늘을 배경 삼아 우뚝 솟은 중국 베이징 천안문 성루 위에 박근혜 대통령이 섰다. 왼쪽으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자리했다. 한국 정상이 한때 적성국이던 중국·러시아 정상과 나란히 서서 90분간 펼쳐진 중국 인민해방군의 대규모 군사 퍼레이드(열병식)를 지켜봤다. 한국 정상이 천안문 성루에 오른 것은 처음이다. 61년 전인 1954년 10월 이 자리에 선 이는 김일성 북한 수상이었다. 그는 마오쩌둥 중국 국가주석 바로 옆에 서서 파안대소하며 중국 건국 5주년 기념 열병식을 지켜봤다. 이는 불과 1년여 전 끝난 한국전쟁 때 수십만명의 중국군이 참전해 피 흘리며 쌓은 조(북)-중 우의의 상징적 장면으로 남았다. 당시 신생 중국은 5년 또는 10년 단위 꺾어지는 해로서는 첫번째인 건국 기념일을 맞아 열병식을 치렀다. 그로부터 61년 만에 중국은 ‘항일승전 70주년’ 기념을 명분으로 대국굴기와 부흥을 웅변하는 유례없는 대규모 열병식을 준비했다. 이날 박 대통령의 천안문 성루 등정은 시간의 간극만큼 달라진 한-중 및 북-중 관계, 나아가 동아시아 역학 관계를 표상하는 역사적 장면으로 남을 가능성이 있다. 박 대통령은 노란색 재킷 차림으로 이날 오전 9시36분께 주최자인 시 주석 왼편에 서서 성루를 향해 이동했다. 시 주석 오른편의 푸틴 대통령까지 세 정상은 나란히 선두에 서서 성루 계단을 올랐다. 박 대통령의 열병식 참관은 박근혜 정부의 외교가 그동안 가본 적 없는 낯선 곳으로 이어지는 계단에 한 발짝 디뎠다는 의미 또한 갖는다. 박 대통령은 미국의 동맹국 정상으로는 유일하게 성루에 섰다. 이번 열병식을 못마땅해하는 미국 내 반대 기류를 무릅쓴 결정이다. 김창수 코리아연구원장은 “미국은 이번 열병식이 동아시아 패권 경쟁국인 신흥 중국의 굴기를 상징하는 행사인 점과, 무엇보다 미국의 미사일방어(MD) 체계를 무력화할 수 있는 중국의 신형 병기들이 과시된다는 점 등을 우려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실제 중국은 이날 ‘항공모함 킬러’로 알려진 ‘둥펑-21D’ 미사일과 탱크, 전차, 대포 등 40여종, 500여개의 최신 무기를 선보이며 군사력을 과시했다. 김 원장은 “한-미-일이 연동되는 미사일 방어 체계 구축을 중간다리 삼아 중국 견제를 위한 한-미-일 삼각공조 구축을 서두르는 미국으로선, 한국의 열병식 참석을 미약하지만 공조 이탈 가능성을 보여주는 신호로 받아들일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김일성-마오쩌둥’ 섰던 자리에 ‘박 대통령-시진핑’박, 한국·미 동맹국 정상 최초로 천안문 성루 올라
동아시아 정세 격동…‘균형 외교’ 이제부터가 중요
|
김일성 전 북한 수상(왼쪽)이 1954년 10월1일 같은 장소에서 마오쩌둥 전 중국 국가주석(맨 오른쪽)과 열병식을 지켜보고 있는 장면이다. 한겨레 자료사진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