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4일 오후 서울 여의도 한국노총 대회의실에서 열린 한국노총 중앙집행위원회 회의에서 조합원들이 최근 노사정 대타협에 대한 반대입장을 밝히는 시위를 벌이고 있다. 김태형 기자 xogud555@hani.co.kr
|
여야 정기국회서 입법전쟁 예고
5대입법 중 기간제·파견법 충돌
여 ‘속도전’ 야 “노동계 팔비틀기”
노사정위원회가 13일 최대 쟁점사항이었던 ‘일반해고’와 ‘취업규칙 변경요건’ 완화에 대해 잠정합의하면서 노동시장 개편 문제가 국회로 넘어오게 됐다. 정부·여당이 후속 입법 과제로 꼽고 있는 노동 개편 관련 5개 법안 가운데 기간제(비정규직) 노동자의 계약기간 연장을 담은 기간제법과 파견 허용 업종의 확대를 담은 파견근로자보호법에 대해 야당이 ‘결사반대’로 맞서고 있어 올 정기국회 입법 과정에 진통이 예상된다.
새누리당은 14일 노사정 잠정합의에 대한 후속 법안 마련을 위한 작업에 즉시 착수했다. 원유철 새누리당 원내대표 등 원내지도부와 당 노동시장선진화특별위원회 위원,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여당 의원들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이기권 고용노동부 장관 등 정부 쪽 인사들과 당정회의를 연 데 이어 16일 정책 의원총회를 거쳐 5대 법안을 당론 발의하고, 12월9일까지 예정된 정기국회 회기 중 본회의를 통과시킨다는 방침을 세우고 있다.
반면, 야당은 이번 노사정 합의를 “노동계 팔 비틀기” 식의 강압적 결과물로 규정하고, 입법 과정에서 관련 사항을 철저하게 따지겠다며 일전을 예고했다.
여야 동수 환노위 통과 불투명 새정치, 쉬운 해고 등도 반발
“대통령 공약 파기…계속 따질것” 국회를 통과해야 하는 노동 개편 5대 법안은 △근로기준법 △기간제법 △파견근로자보호법 △고용보험법 △산재보험법이다. 이 중 실업급여 수준을 높이는 내용을 담고 있는 고용보험법과 산재보험법은 여야 이견이 크지 않다. 주당 근로시간 단축(68→60시간) 등이 포함된 근로기준법도 양당이 공감하고 있다. 그러나 현행 2년인 기간제 노동자의 계약기간을 4년까지 늘릴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의 기간제법과 파견노동자 허용 대상을 확대하는 내용의 파견근로자보호법은 여야가 팽팽하게 맞서고 있다. 여당은 일자리 창출 방안이라고 주장하나, 야당은 비정규직 양산을 우려하고 있다.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