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장집
|
최장집·이정우·박세일 교수
‘민주화시대의 양극화’발표문 미리 공개
참여정부 정책평가 서로 큰 차이 드러내
“세계화 자체를 양극화의 원인으로 보는 것은 무리가 있다.”(이정우 교수) “양극화는 한국 사회의 자기변화 능력 부족에서 비롯된 문제다.”(박세일 교수) “가장 중요한 문제는 민주화 이후 정부들이 신자유주의적 세계화에 대응하는 방식에 있다.”(최장집 교수)
오는 29일 열리는 ‘민주화·세계화 시대의 양극화’ 대화모임(<한겨레> 21일치 19면)에서 발표될 내용이다. 사회 양극화의 원흉을 전지구적 세계화에 뒤집어 씌워버리는 것으로 끝낼 일이 아니라는 판단이 담겨 있다. 최장집 고려대 교수, 이정우 경북대 교수, 박세일 서울대 교수는 한결같이 한국적 방식의 세계화 적응 전략을 주문했다. 그 열쇠를 참여정부가 쥐고 있다는 사실도 지적했다.
대화문화아카데미(이사장 박종화)는 26일 이런 내용이 담긴 세 교수의 발제문을 언론에 배포했다. 세 교수는 문민정부-국민의정부-참여정부로 이어지는 지난 10여년 동안 각 정부의 초기 정책 입안에 큰 영향을 줬다. 이들이 참여하는 대화모임에 세간의 관심이 모이면서 주최 쪽이 발표문을 미리 공개했다. 발표문에서 세 학자는 참여 정부의 ‘창의적 대안 마련 노력’ 여부에 청진기를 들이댔다. 다만 그 방향에 대해 셋은 미묘하지만 중대한 차이를 드러냈다.
|
박세일
|
|
이정우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