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15.12.03 19:34
수정 : 2015.12.07 11:08
|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왼쪽)와 안철수 의원. 한겨레 자료사진
|
문재인, 혁신 전당대회 제안 거부
‘문 체제’로 총선 치르겠다는 의지
안철수 “당 어디로 끌고 가려는지”
‘문의 선택’은 정면돌파였다.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는 3일 국회 당대표실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안철수 전 대표가 제안한 ‘혁신 전당대회’ 수용을 거부하고 지도체제 변화 없이 자신의 주도로 총선을 치르겠다고 밝혔다. 일부 비주류의 탈당을 감수하더라도 흔들리지 않고 대표직을 수행하겠다는 뜻을 분명히 한 것이다.
문 대표는 이날 회견에서 “(안 전 대표가 제안한) 전당대회는 물리적으로 시간이 부족하고, 제안 취지와 달리 총선을 앞둔 사생결단, 분열의 전대가 될 수밖에 없어 (당이) 공멸할 수 있다”며 “전대는 당 외부세력과 통합하기 위한 통합 전대의 경우에만 의미가 있다”고 밝혔다. ‘천정배 신당’ 등 다른 야당과 통합을 위한 전당대회 외엔 전대를 열 생각이 없다는 뜻이다. 문 대표는 또 안 전 대표가 거부한 ‘문(재인)·안(철수)·박(원순) 연대’에 대해선 “더 이상 안 되는 일에 매달려 시간을 보낼 수 없다. 좌고우면하지 않고 총선을 준비해나가겠다”며 “빠른 시일 안에 총선기획단, 총선정책공약준비단, 호남특위, 인재영입위, 선대위 등을 순차적으로 구성해 총선 체제에 돌입하겠다”고 말했다. ‘문-안 갈등’이 불거진 뒤 제기된 ‘비상대책위 전환’ ‘공동 선대위 구성’ 등 다양한 중재안에 대해서도 ‘수용 불가’ 의사를 명확히 하면서 ‘문재인 체제’로 총선을 치르겠다는 강한 의지를 드러낸 것이다.
문 대표는 이어 “당을 흔들고 해치는 일들도 그냥 넘기지 않겠다. 당의 화합을 위해 용인해야 할 경계를 분명히 하고, 그 경계를 넘는 일에 대해서는 정면대응하며 당의 기강을 세우겠다”고 강조했다. 최근 현역의원 평가를 위한 당무감사를 거부한 유성엽, 황주홍 의원과 탈당 인사들의 신당 추진 모임에서 축사를 한 조경태 의원 등을 겨냥한 것으로 보인다.
‘탈당설’을 흘리며 자신의 거취 결정을 압박해온 비주류 의원들을 향해선 사실상 ‘나갈 테면 나가라’는 태도를 드러냈다. 문 대표는 ‘비주류 탈당 시 대응책’을 묻는 기자들에게 “현실적으로 일어나지 않을 일이라고 생각한다”고 일축하면서 “꺾일 때 꺾이더라도 해야 할 일, 가야 할 길을 가겠다”고 했다.
문 대표는 기자간담회를 마친 직후 당무감사를 거부한 유성엽, 황주홍 의원과 부적절한 행위로 ‘스캔들’에 휘말린 신기남, 노영민 의원, 참여정부 국정홍보처장 출신의 김창호 전 분당갑 지역위원장 등에 대한 단호한 조처를 취할 것을 지시했다. 문 대표는 “도당 위원장이라는 중책을 맡고 있는 유성엽, 황주홍 의원이 당무감사를 거부한 것은 당헌·당규를 정면으로 위반한 해당행위”라며 당무감사원에 징계 요구를 포함한 엄정한 조처를 취할 것을 주문했다.
안철수 의원은 문 대표 회견 뒤 기자들에게 문자메시지를 보내 “당의 앞길이 걱정이다. 당을 어디로 끌고 가려는지 우려된다”고 밝혔다. 비주류 회의체인 민주당 집권을 위한 모임 소속의 문병호 의원은 <한겨레>와 한 통화에서 “통합의 책무가 있는 당대표가 분열의 길을 가속화시키고 있다. 자신만 옳다는 아집과 독선에서 한 치도 벗어나지 못한 결정으로, 대단히 답답하고 유감스럽다”고 말했다.
이세영 기자
monad@hani.co.kr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