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익의 <성호사설> 글 인용한 글 페북에 올려
“임금이 어진 인재가 없다고 한탄하는 것은
잘 자란 곡식이 널려있는데 수확하지 않는 것과 같다”
안철수 국민의당 상임대표의 한 보좌관이 사직서를 제출하고 당을 떠나면서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조선 후기 실학자 이익의 <성호사설>을 인용한 글을 남겨 관심을 모으고 있다. 이 보좌관은 16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간언하는 신하를 두려면… <성호사설> ‘간쟁하는 신하 일곱 사람’”이라는 제목의 장문의 글을 올렸다.
그는 글에서 “나라를 다스리는 임금은 간언하는 신하가 없다는 사실을 걱정하지 말고, 신하의 간언을 받아들이지 못하는 점을 근심해야 한다”고 운을 뗐다. 이어 “대개 간언은 임금의 잘못을 나무라는 데 가깝다. 자신의 잘못을 지적받고 화가 나지 않는 사람은 없다”며 “그러나 임금이 간언을 듣고 분노하더라도 서슴없이 간해야 한다”고 했다.
보좌관은 또 “임금이 간언하는 신하가 없음을 근심하는 것은 논밭이 있으되 곡식을 심지 않음을 걱정하는 것과 같다”면서 “임금이 미리 신하의 간언을 받아들이는 통로를 활짝 열어놓는다면, 사람들이 가까운 곳이나 먼 곳을 가리지 않고 모두 팔뚝을 걷어붙이고 임금을 찾아와 가슴 속에 품은 식견을 거리낌 없이 털어놓고 간언할 것”이라고 했다.
|
안철수 보좌관 페이스북 글 갈무리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