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6.02.29 19:21 수정 : 2016.02.29 19:28

일본군 위안부로 끌려간 소녀들의 아픔을 그린 영화 <귀향>이 개봉 닷새 만에 100만 관객을 돌파하면서 극장가에 돌풍을 일으키고 있다. 영화 표를 예약하는 이들도 날로 늘어 흥행 추세는 고조될 전망이다. 개봉 전부터 상영관 확보를 돕기 위한 예매 운동이 온라인에서 벌어졌고, 학교·학원·시민단체·정치권 등 다양한 층에서 단체관람도 이어지고 있다.

<귀향>의 성공은 통상적인 영화의 인기몰이와 구별되는 ‘사회적 현상’이라고 할 만하다. 그 배경에는 지난해 말 정부가 일본과 맺은 ‘12·28 합의’에 대한 광범위한 불만이 깔려 있다. 위안부 문제의 ‘불가역적 해결’ 운운한 합의 내용은 역사의 망각을 강요한 것이나 마찬가지다. 이에 공분을 느낀 시민들이 <귀향>을 통해 ‘기억 투쟁’에 나선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정부는 합의 이후에도 한-일 정상 간 통화 내용과 협상 문서를 공개하라는 변호사단체의 요구를 계속 거부하는 등 떳떳하지 못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급기야 초등학교 국정 역사교과서에서 ‘위안부’라는 용어와 사진을 뺐다. <친일인명사전>을 학교 도서관에 보급하려는 서울시교육청의 정책에 교육부가 제동을 걸기도 했다. 정부가 이런 몰역사적인 행보를 보이면서 시민들의 분노는 더 커지고 있다.

저자세로 일관하는 우리 정부와 달리 일본 정부는 국제사회에서 위안부 강제연행을 거듭 부정했고 여당 정치인의 망언도 여전하다. 알량한 12·28 합의 정신마저 이미 형해화한 셈이다. 이제 정부는 이 합의가 외교적 참사였음을 솔직히 인정하고 무효화 및 재협상에 나서야 한다.

올해 들어 벌써 위안부 피해 할머니 두 분이 유명을 달리했다. <귀향>의 성공은 역사의 비극을 똑바로 기록하고 되새긴다는 차원에선 바람직할지언정, 그 바탕에 70년 넘게 풀지 못한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의 한이 자리하고 있다는 점에선 슬프기만 하다. 결코 경축하고 있을 수만은 없는 3·1절이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