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16.07.28 16:22
수정 : 2016.07.28 22:13
재단 준비위원 중 가장 비중 높은 유 전 장관 재단 불참 눈길
소식통 “재단 준비위 참여 때부터 다수 주변 인물 우려 전달”
|
유명환 전 외교부 장관
|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문제와 관련한 한국·일본 정부의 12·28 합의 이행 기구인 ‘화해·치유재단’은 김태현 이사장을 비롯해 당연직인 외교부 동북아국장과 여성가족부 권익증진국장 등 10명의 이사진으로 구성됐다. 모두 재단 설립 준비위원회에 참여한 인물이다. 그런데 재단 준비위원 가운데 가장 비중이 높은 인물인 유명환 전 외교부 장관은 재단 이사진에 참여하지 않았다. 재단 설립 준비만 하고 정작 재단 운영엔 참여하지 않기로 한 것이다. 준비위원 가운데 유일한 재단 불참이다. 유 전 장관은 외교부 장관과 일본대사 등을 지낸 국내의 대표적 일본통이다.
유 전 장관의 재단 불참 결정엔, 12·28 합의를 둘러싼 나라 안팎의 격한 논란에 따른 정치·외교적 부담에 더해 주변 인물들의 강력한 만류가 작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 소식통은 “유 전 장관이 재단 준비위에 참여했다는 소식이 전해진 뒤 유 전 장관의 현직 시절부터 가깝게 지내온 많은 이들이 우려를 표명했다”며 “이들 중 다수가 유 전 장관의 재단 활동 참여를 만류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전했다. 이 소식통은 “현 정부는 12·28 합의의 불가피성을 역설하며 합의 강행 태도이지만, 국내 정치 상황의 변화에 따라 합의 이행에 적극 나선 이들한테 사회적 책임을 물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판단에 따른 만류”라고 덧붙였다.
이제훈 기자
nomad@hani.co.kr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