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7.12.28 19:24 수정 : 2017.12.28 21:09

28일 오전 서울 종로구 주한일본대사관 앞에서 평화나비 네트워크 등 대학생 단체 회원들이 2015 한일 합의 즉각 폐기를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미국 ‘직접 개입’ 인상 피하려 신중 모드
“강력한 한-일관계 추구 모든 노력 환영”

28일 오전 서울 종로구 주한일본대사관 앞에서 평화나비 네트워크 등 대학생 단체 회원들이 2015 한일 합의 즉각 폐기를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미국 국무부는 한국의 ‘한·일 일본군 위안부 피해문제 합의 검토 태스크포스(TF)’의 보고서 발표와 관련해 27일(현지시각) “미국은 모든 당사국들이 이 민감한 이슈에 치유, 화해, 상호 신뢰를 촉진하는 방식으로 함께 노력하고 접근하기를 오랫동안 권장해왔다”고 밝혔다.

국무부 동아태 대변인실의 마이클 케이비는 이날 <한겨레>의 질의에 이렇게 밝힌 뒤 “미국은 강력한 한-일 관계를 추구하는 모든 노력을 환영한다”고 말했다. 케이비는 이어 “미국은 동맹인 한국 및 일본과 함께 북한이 핵·미사일 무기 프로그램을 포기해야 한다는 일치된 메시지를 통한 최대의 대북 압박을 포함해 역내 안보 문제들에 집중하고 있다”고 밝혔다.

문재인 대통령이 28일 “이 합의로 위안부 문제가 해결될 수 없다”는 입장을 발표하기 전에 내놓은 국무부의 이런 반응은 미국이 위안부 문제에 관여하고 있다는 인상을 피하고 싶어 하는 조심스러움이 묻어난다. 그러면서도 북핵 문제 공조 등을 위해 한-일 관계 개선의 필요성을 우회적으로 강조하고 있다. 버락 오바마 행정부 시절엔 백악관과 국무부가 총동원돼 “최종적이고 불가역적인 합의를 도출한 것”에 대해 “축하한다”는 성명을 내며 ‘못질’을 했다.

워싱턴/이용인 특파원 yyi@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