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6.10.31 21:50 수정 : 2016.10.31 22:05

유승민·주호영 의원 등 거명
위기수습 성패 부담 커 선뜻 나서는 이 없어

새누리당에서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에 동반책임을 지고 지도부가 사퇴해야 한다는 여론이 높아지면서, 차기 비상대책위원장을 맡을 후보군들이 거론되기 시작했다.

비대위원장으로는 비박계 중진 또는 당 외부 원로 인사 등이 언급된다. 당내 인물로는 유승민·주호영 의원 등이 언급된다. 원내대표 시절 박근혜 대통령의 경제·복지정책을 공개비판한 뒤 박 대통령에게 찍혀 원내대표직에서 물러난 유 의원은 지난 4·13 총선 때 공천을 못 받아 무소속 출마로 당선되는 과정에서 대중적 인지도가 올랐다. 최근 남경필 경기도지사가 사석에서 “유승민 의원이 비대위원장으로 적합하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남 지사는 공개발언에서는 “대선후보 중에서도 (비대위원장을) 맡을 수 있다”고 말했다. 주호영 의원은 지난 8월 전당대회에서 비박계 단일후보로 당 대표에 출마한 바 있다. 이들 외에도 정병국·김용태 의원 등이 입에 오르내리고 있다.

하지만 비대위원장은 새누리당이 지금껏 경험하지 못한 수준의 위기를 수습해야 하는 책임을 맡게되는 만큼 그 성패의 위험부담도 커서, 아직까지 선뜻 공개적으로 관심을 표하는 이는 없는 상태다. 특히 대선 주자가 비대위원장을 맡을 경우, 대선 룰 결정 문제와도 연결되는 점은 본인이나 경쟁자들 모두 부담스러운 대목이다. 유승민 의원 역시 대선 출마를 고심하고 있다.

원로 중에선 김황식 전 총리, 강창희 전 국회의장 등이 거론된다. 다만 현직 의원이 아닌 경우 당을 실질적으로 이끌어가고 야당과 협상을 하는 데 어려움을 겪지 않겠느냐는 시각이 있다. 총선 참패 이후 영입한 김희옥 비대위원장도 친박과 비박계 사이에 끼어 운신의 폭이 좁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경미 기자 kmlee@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