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권도 하야·탄핵 목소리 커져-
“대통령이 정통성 상실한 상태서
권력 교체해 민주헌정 회복해야”
민주당 일각 “하야투쟁·탄핵추진” 목소리
국민의당 “퇴진 운동…서명 전개” 당ㄹ노
내일 집회 뒤 투쟁수위 조절할 듯
박근혜 대통령이 ‘최순실 국정농단’ 전반에 직접 관여했다는 정황이 짙어지면서, 정치권에서도 하야·탄핵 여론과 보조를 맞추려는 움직임이 늘고 있다.
10일 야3당과 무소속 의원 43명은 국회에서 ‘박근혜 대통령 퇴진 촉구 대토론회’를 열고, 공동결의문을 채택했다. 이들은 결의문에서 “헌정의 한 축인 대통령이 권력의 정통성과 정당성을 상실하고 무너진 상태에서 헌정의 다른 축인 대한민국 국회는 질서있게 권력을 교체해 민주헌정을 회복해야 한다”며 “대통령 박근혜의 퇴진을 반드시 이뤄내고, 민주공화국을 재건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결의문에는 더불어민주당 설훈·송영길·우원식·유은혜 의원 등 25명, 국민의당 정동영·이상돈·송기석 의원 등 10명, 정의당 심상정·노회찬 의원 등 6명, 무소속 김종훈·윤종훈 의원이 동참했다.
이 토론회에서 의원들은 “박 대통령이 즉각 물러나고 (법에 정해진 대로) 60일 이내에 선거를 치러야 한다”(설훈 민주당 의원), “국민적 압력을 생각하면 탄핵소추안이 국회를 통과하지 못 할 이유가 없다고 확신한다. 다음주까지 박 대통령의 결단이 이뤄지지 않을 경우 국회는 탄핵소추 절차에 착수하자”(정동영 국민의당 의원) 등의 주장을 쏟아냈다.
|
야3당과 무소속 의원들이 10일 오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박근혜 대통령 퇴진 촉구 국회의원 대토론회’에서 손팻말을 들고 대통령 퇴진을 촉구하고 있다. 왼쪽부터 더불어민주당 유승희, 국민의당 송기석, 정의당 김종대·이정미, 민주당 김상희, 국민의당 정동영, 정의당 심상정, 민주당 송영길·설훈, 정의당 노회찬, 민주당 우원식, 무소속 김종훈, 정의당 윤소하 의원. 강창광 기자 chang@hani.co.kr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