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6.11.14 20:51 수정 : 2016.11.15 11:51

추미애 대표, 박대통령과 양자회담 철회
추 “촛불민심 전달 책무” 발언에
“국민들이 대통령과 담판하랬나”
“혼자서 결정, 민심·당심 거슬러”
‘야권공조 무시’ 비판 쏟아져
“우리도 비상지도부로” 발언까지

국민의당·정의당 “늦게나마 다행”

‘박근혜정권 퇴진 비상국민행동' 관계자들이 14일 오후 서울 여의도 더불어민주당 당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박근혜 대통령과 민주당 추미애 대표의 양자회담 중단을 촉구하고 있다. 연합뉴스
추미애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돌발제안’과 청와대의 ‘즉각수용’으로 성사될 듯했던 ‘양자회담’이 결국 불발됐다. 양자회담의 시점과 형식, 실효성, 전망 등을 둘러싸고 비판이 쏟아지며 의원 대다수가 양자회담 철회를 요구했기 때문이다.

14일 오후 열린 민주당 의원총회에서 추 대표는 갑작스럽게 양자회담을 제안한 취지를 의원들에게 설명했다. 이 자리에서 추 대표는 “박 대통령이 즉시 하야하라는 것이 광장의 민심”이라며 “이런 촛불 민심을 대통령에게 직접 전달하고 대통령의 생각을 들어보려고 한다”고 말했다. 또 “12일에 목격한 촛불 민심을 수렴할 책무가 우리 당에 있다”며 “박 대통령에게 헌정 중단에 대한 우려를 접고, 민심을 받드는 것만이 대한민국을 살리는 길이라고 전할 것”이라고 밝히기도 했다.

그러나 곧 추 대표에 대한 성토가 쏟아졌다. 비판의 초점은 민주당이 미리 ‘퇴진’으로 당론을 정하지도 않은 상황에서 불쑥 양자회담을 제안한 것, 국민의당·정의당의 반발이 뻔한 양자회담 형식을 취한 것, 당내 소통 없이 추 대표가 독단적으로 결정한 점 등으로 모아졌다. 당직을 맡은 의원들을 제외한 대다수 의원들은 양자회담을 철회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다수였던 것으로 전해졌다.

김상희 의원은 “너무 당황스럽다. 여기까지 오는 데 민주당이 무엇을 얼마나 기여했나. 국민들이 대통령을 만나서 담판 지으라고 우리한테 요구했느냐”며 “대표는 누구와 의논하고 최고위원회는 뭐하러 있나. 이 회담을 계속하면 19일 광장에서 돌팔매 맞는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유승희 의원은 “박 대통령이 비판받는 이유는 권력을 사유화해서다. 이런 중요한 문제를 백만 촛불집회에도 불구하고 추 대표 혼자서 하루아침에 결정하다니 말이 되냐. 당심·민심을 거스르는 일이다”라고 말했다.

이언주 의원은 “양자회담에서 우리가 원하는 답이 안 나올 게 뻔하고, 우스운 모양새가 될 것”이라고 주장했고, 유은혜 의원은 “야권공조가 필요한 시점에 단독회담은 반대”라며 “지금은 평시가 아니라 전시인 만큼 지도부가 더 신속하게 대응해야 한다. 비상지도부에 준하는 방식의 지도부가 필요하다”고 의견을 냈다.

의원들의 반발이 거세자, 민주당 지도부는 의총을 잠시 정회하고 최고위원회를 열어 입장을 선회했다. 추 대표는 최고위 뒤 의총 회의장으로 돌아와 “대통령과 담판을 통해 촛불 민심을 정확히 전달하는 것이 제1야당 대표가 할 일이라 생각했다”며 “여러분이 절 뽑아준 건 정치적 순발력 등을 발휘해달란 것으로 안다. 의원들의 단결이 더 중요하다. 시기상 적절치 않다는 의원들 고견을 받아들여 회담을 철회한다”고 말했다.

이날 오전 민주당과 청와대의 양자회담 소식에 분노를 터뜨렸던 국민의당과 정의당은 민주당 의총 결과를 반겼다. 박지원 국민의당 비대위원장은 “추 대표의 결단은 100만 촛불민심을 확인한 것으로 이러한 결단은 보다 공고한 야3당 공조를 확인하며, 추 대표와 함께 저는 박근혜 대통령 퇴진에 박차를 가하겠다”고 밝혔다. 심상정 정의당 대표도 “내일이라도 야3당 대표가 만나 대통령 퇴진 관철을 위해 실질적인 행동방안을 논의하자”고 말했다.

엄지원 기자 umkija@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