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에 장시호 센터 16억 지원 강요
체육계 현안 등 비밀누설 혐의에
정유라 국가대표 발탁도 개입 의혹도
‘최순실 집안’ 이권 추구 곳곳 개입 의혹
차관직 이용 체육계 장악 추가 조사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검 검찰 특별수사본부에 16일 출석해 최순실씨의 이권 챙기기 행보를 지원했다는 의혹과 관련해 조사를 받은 김종 전 문화체육관광부 차관이 17일 새벽 밤샘조사를 마치고 귀가하고 있다. 연합뉴스
2013년부터 3년 동안 문화체육관광부 제2차관으로 재임하면서 최순실(60)씨 집안의 각종 이권 추구를 돕고 인사 개입 등을 저질러온 의혹을 받고 있는 김종(55) 전 차관에 대해 사전구속영장이 청구됐다. ‘체육계의 대통령’으로 불렸던 그는 ‘비선실세’의 힘에 기대 각종 전횡을 저지른 대표적인 공직자로 꼽힌다.
검찰 특별수사본부(본부장 이영렬)는 17일 김 전 차관에게 직권남용과 공무상비밀누설 혐의를 적용했다.
우선 그는 최씨의 조카이자 최순득씨의 장녀인 장시호(37)씨가 운영하는 한국동계스포츠영재센터에 삼성전자가 16억여원을 후원하도록 강요한 혐의를 받고 있다. 이는 그동안 제기되지 않았던 의혹으로, 검찰이 조사 과정에서 새롭게 범죄 혐의를 포착한 것으로 보인다. 그는 문체부 산하 공기업 그랜드코리아레저(GKL)의 장애인 펜싱팀 대행업체로 최씨의 더블루케이(K)가 선정되도록 압력을 넣은 혐의도 받고 있다. 검찰은 이밖에도 김 전 차관이 최씨에게 문화체육계의 현안에 대해 보고했다는 의혹에 공무상비밀누설 혐의도 적용한 것으로 보인다. 김 전 차관의 영장 발부 여부는 21일 법원의 영장실질심사를 거쳐 결정된다.
한양대 스포츠산업학과 교수였던 김 전 차관은 박근혜 대통령이 2013년 8월 정유라씨의 국가대표선발전 관련 민원을 제대로 처리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문체부 국장과 과장이 ‘나쁜 사람’으로 찍혀 경질된 사태가 발생한 이후 2013년 10월 차관으로 임명됐다. 2014년 7월 면직된 유진룡 전 장관은 언론 인터뷰에서 “김종 차관의 민원을 이재만 비서관이 대통령을 움직여 지시하는 경우도 있었다”고 밝히기도 했다.
김 전 차관을 둘러싼 의혹은 크게 최씨 집안의 이권 지원과 인사청탁을 통한 체육계 장악이다. 김 전 차관은 체육인재육성재단을 해산시키고 케이(K)스포츠재단을 설립하는 과정에 개입한 의혹을 받고 있다. 최씨가 설립한 더블루케이 사업에도 개입했다는 의혹도 있다. 그는 또 한국동계스포츠영재센터에 문체부 예산 6억7000만원을 배정했고, 정유라씨의 국가대표 발탁에 개입한 의혹도 받고 있다. 김 전 차관은 언론 등에서 의혹이 나올 때마다 줄곧 “최순실씨를 모른다”고 주장했지만, 최씨의 논현동 비밀아지트로 알려진 사무실에선 그를 직접 봤다는 증언들이 나왔다.
차관직을 활용해 체육계를 장악하려 했다는 의혹도 검찰의 추가 조사에서 밝혀질 것으로 보인다. 김 전 차관은 2014년에 최씨에게 문자메시지로 문체부 장관 후보자 3명과 한국콘텐츠진흥원 원장 후보 2명을 추천했다는 의혹이 제기된 바 있다. 체육진흥투표권(스포츠토토) 사업자인 케이(K)토토 관계자는 최근 <한겨레>에 “김 전 차관의 인사청탁으로 지난해 7월 직원 2명을 채용했다”고 밝힌 바 있다. 이 중 1명은 최씨의 측근으로 알려졌다.
김민경 기자 salmat@hani.co.kr[관련영상] 한겨레 포커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