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일 오전 종로구 세종문화회관 세종홀에서 열린 박정희 탄생 100돌 기념사업 추진위원회 출범식에 김기춘 전 대통령 비서실장이 참석해 앉아 있다. 김 전 실장은 정국 수습에 개입한다는 의혹에 대해 “관여하는 바 없다”고 답했다. 연합뉴스
|
법무차관 “우병우 탈세혐의 살펴보고 있다”
검찰이 김기춘 전 청와대 비서실장과 우병우 전 민정수석을 피의자로 입건해 수사중인 사실이 드러나면서 이들의 혐의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30일 검찰에 따르면 김 전 실장은 2014년 10월 문화체육관광부 1차관에게 1급 공무원 6명에게 사표를 받을 것을 지시한 혐의를 받고 있다. 이와 관련 유진룡 전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은 언론 인터뷰에서 “그 배경에 김 전 실장의 지시가 있었다”고 폭로한 바 있다. 유 전 장관은 이를 ‘문체부 학살’이라고 표현하며, “그런 식으로 조직을 정비한 거 아니겠느냐. 청와대 말을 안 들을 것 같은 사람들을 자르면 시키는 대로 할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를 두고 청와대가 미르·케이스포츠재단 설립을 앞두고 공무원 길들이기를 하는 것 아니냐는 뒷말이 무성했다. 검찰은 차은택씨가 최순실씨의 주선으로 김 전 실장의 공관을 찾아가서 만났다는 부분에 대해서도 주요하게 살펴보고 있다. 그동안 김 전 실장은 “최순실씨를 전혀 모른다”고 잡아뗐지만, 차씨의 진술로 김 전 실장의 거짓 해명 가능성이 커졌기 때문이다. 이창재 법무부차관은 이날 국회 국정조사특별위원회에 출석해 ‘김 전 실장을 수사할 용의가 있느냐’는 박범계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질문에 “그런 부분이 김 전 실장 의혹에 중요한 부분”이라고 밝혔다. 이날 김 전 실장의 자택 앞 쓰레기봉투에서 자필 메모로 추정되는 종이가 발견되기도 했다. 종잇조각에는 ‘최순실 소개?’ ‘차움 치료’ 등의 단어가 나와 김 전 실장이 검찰 수사에 대비한 것 아니냐는 추측이 나왔다. 이 때문에 법률전문가인 김 전 실장에 대해 서둘러 압수수색 등을 해 증거물을 확보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우 전 수석 역시 검찰 수사를 앞두고 휴대전화를 교체해 증거인멸 의혹이 제기됐다.
|
박근혜 대통령이 지난 8월2일 오전 청와대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국민의례를 하고 있다. 뒷쪽에 우병우 민정수석. 청와대사진공동취재단.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