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기춘 전 대통령 비서실장이 7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순실 국정농단 의혹 진상규명을 위한 국정조사 특위 2차 청문회에서 의원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연합뉴스.
박영선 위원 “제가 직접 들었는데도 지시한 적 없느냐” 따지자
김 전 비서실장 “모두 제 지시 아니란 것은 아니다” 꼬리 내려
김기춘 전 대통령 비서실장이 7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순실 국정농단 의혹 진상규명을 위한 국정조사 특위 2차 청문회에서 의원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연합뉴스.
김기춘 전 청와대 비서실장이 세월호와 관련된 청와대 통제 등을 지시했다고 적혀 있는 ‘김영한 비망록’에 대해 “일부 내 지시도 있다”고 처음으로 인정했다. 그동안 김 전 비서실장은 김영한 전 청와대 민정수석의 비망록에 대해 “그런 지시를 한 적이 없다”, “수첩에 적힌 것은 김영한 수석이 자기 의견을 쓰는 경우도 있다”며 부인해 왔다.
<한겨레>가 유족 동의를 얻어 입수한 고 김영한 청와대 민정수석 업무수첩(비망록) 10월27일자 메모. ‘장’이라는 글씨와 함께 ‘세월호 인양 - 시신인양X, 정부책임, 부담’이라는 메모가 적혀 있다.
7일 국회에서 열린 ‘박근혜 정부의 최순실 등 민간인에 의한 국정농단 의혹사건 진상규명을 위한 국정조사 제2차 청문회’에서 박영선 위원(더불어민주당)은 “제가 2014년 원내대표 시절, 당시 조윤선 정무수석이나 이완구 원내대표가 김 비서실장에게 전화를 많이 걸어서 통화하는 음성의 절반 정도는 들었다. 거기서 김영한 비망록에 나오는 질문의 절반 정도는 들은 적이 있다. 세월호(시신 인양을 정부가 반대한다는 내용) 이것도 카톡 등 통해 세월호 시신 구하는 데 예산이 얼마 든다는 둥 국민 여러분 카톡 받아보신 분 많을 거다”라며 “제 앞에서 이완구 원내대표가 전화하신 사건 많다. 제가 직접 들었는데 그래도 지시한 적이 없느냐”고 추궁했다. 그러자 김 전 비서실장은 “지시를 전혀 안 한 건 아니다. 시신 인양을 구체적으로 어떻게 않으라던가 하는 말을 한 적이 없다. 시신을 인양하면 정부에 부담이 된다거나 하는 (이야기를 한 적은 없다)” 이라고 답했다.
박영선 위원이 “그럼 (김 실장의 지시가 아니라는) 발언을 취소하는 거죠”하고 묻자 “(김영한 비망록에) 장이라고 기재돼 있다고 모두 제 지시가 아니라고 하지 않는다는 거다. 가끔 내 지시도 있다고 생각한다”고 인정했다.
김 전 비서실장은 이날 오전 앞선 청문회에서는 시신 인양을 하면 정부 책임과 부담으로 돌아온다는 내용의 비서실장 지시를 적은 김영한 비망록을 두고 “그렇게 얘기한 일이 없다”고 일관되게 부인했다. 또 “여러 현안을 논의하는 자리라 (김영한 전 민정수석이) 자기 의견을 쓰는 경우도 있고”라며 고 김영한 전 민정수석에게 책임을 떠넘기기도 했다.
정유경 기자 edge@hani.co.kr[관련 영상] 한겨레TV | 더 정치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