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6.12.08 21:33 수정 : 2016.12.09 08:38

총리실 가결이후 상황 대비 분주
노무현 대통령 때 준해 대책 마련
‘최장수 내정’ 김병준 자연인으로

황교안 국무총리가 8일 오후 서울 강남구 수서역에서 열린 수서고속철도 개통식에서 축사를 마치고 무대를 내려오고 있다. 연합뉴스.
박근혜 대통령 탄핵안 표결을 하루 앞둔 8일 국무총리실은 팽팽한 긴장감 속에서도 큰 동요 없이 일상 업무를 이어갔다. 총리실 관계자는 권한대행 체제 준비 상황과 관련한 질문에 “탄핵안 가결을 전제로 이후 상황을 거론하는 건 지금으로선 부적절하다”며 말을 아꼈다. 다만 내부적으론 2004년 3월12일 노무현 대통령 탄핵안 가결 이후의 상황에 준해 대응 방안을 마련한 것으로 알려졌다.

황교안 총리도 이날 예정된 일정을 소화했다. 황 총리는 오전 8시30분께 정부서울청사에서 제14차 총리-부총리 협의회를 주재했다. 앞서 정부는 박 대통령 퇴진 촉구 1차 촛불집회가 열린 10월29일 황 총리 주재로 국무위원 간담회를 열어, 국정 현안을 차질 없이 챙기겠다며 매주 월·목요일 두차례 협의회를 열기로 했다.

황 총리는 이날 협의회에서 “내일(9일) 예정된 국회의 탄핵 표결 등 여러 가지 정치 상황으로 국정의 불확실성이 크고 어느 때보다 엄중한 상황”이라며 “내각은 흔들림없이 주어진 소임에 매진해 달라”고 강조했다. 황 총리는 오후엔 서울 강남구 수서역에서 열린 수서고속철도 개통식에 참석해 축사를 했다. 국회가 탄핵안 표결에 나서는 9일 황 총리는 외부 일정 없이 정부서울청사 9층 집무실에서 국회의 표결 과정을 지켜볼 예정이다.

탄핵안이 가결되면, 박 대통령이 지난 11월2일 지명한 김병준 총리 후보 내정자도 자연인으로 돌아가게 된다. 김 내정자는 내정된 날부터 서울 통의동 금융연수원에 마련된 사무실로 출근해 총리실 직원들로부터 업무현황 보고를 받은 뒤 특별히 하는 일은 없는 상태다. 총리실 직원 3명이 기약도 없는 인사청문회 준비를 도와왔다. 김 내정자는 지난달 21일 라디오 인터뷰에서 “(탄핵안이 국회에서 가결되면 내정자 신분은) 당연히 자동 소멸되고 황 총리 체제가 그대로 간다면 황 총리께서 직무대행이 되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헌정 사상 최장인 38일간의 ‘내정자’ 신분을 기록하게 됐다. 박용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8일 국무조정실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보면, 정부는 지난 7일 기준으로 김 내정자에게 사무실·집기 임차료 등 총 850만4000원을 썼다.

정인환 기자 inhwan@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