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17.05.15 16:51
수정 : 2017.05.19 09:28
실장 1명, 수석 3명이 서울시 간부 출신
정치적으론 민주정부의 계승·발전 차원
정책에선 서울시 성공 정책 다수 도입
광화문광장·용산공원·신곡보도 협력
“문 정부 성공, 박 정치 미래 모두 기대”
박원순 서울시장과 함께 일했던 인사들이 비서실장 1명, 수석비서관 3명 등 문재인 대통령 청와대에 대거 진출했다. 이는 정치적으로는 민주 정부의 계승·발전, 정책적으로는 서울시 정책의 도입이란 해석이 나온다.
|
임종석 대통령 비서실장
|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10일 임종석 비서실장, 11일 조현옥 인사수석, 14일 하승창 사회혁신수석, 김수현 사회수석 등 서울시 고위 간부 출신 인사들을 잇따라 청와대 고위 보좌진에 임명했다. 임 실장과 하 수석은 서울시 정무부시장, 조 수석은 서울시 여성가족정책실장, 김 수석은 서울시 연구기관인 서울연구원장 출신이다.
|
조현옥 수석
|
서울시 김종욱 정무부시장은 “박원순 시장의 서울시는 지난 6년 동안 김대중·노무현 정부의 사람과 정책을 계승·발전시켰다. 이제 박원순 서울시의 사람과 정책이 다시 새로운 민주 정부를 지원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최근 박 시장도 “서울시의 훌륭한 인재들을 중앙정부에서 많이 데려가면 좋겠다”고 말했다.
조 수석과 김 수석은 노무현 대통령 때 청와대에서 비서관을 지낸 뒤 서울시를 거쳐 다시 청와대에 갔다. 임 실장도 과거 ‘민주 정부’에서 서울시를 거쳐 새 ‘민주 정부’로 이동했다고 보는 편이 합리적이다. ‘박원순 사람’으로 꼽을 수 있는 경우는 하 수석 정도로, 그의 업무는 전통적으로 시민단체 출신이 맡아온 것이다.
|
김수현 수석
|
정책 차원에서는 청와대가 서울시에서 성공한 여러 정책들을 적극 도입하겠다는 의지를 보였다. 대표적인 것이 5년 동안 10조원을 투자해 노후 주거지를 재생하겠다는 문 대통령의 공약이다. 도시재생 정책은 서울시에서 뉴타운 같은 재개발 정책의 대안으로 추진해왔으며, 이번에 김수현 수석이 공약으로 준비했다. 이밖에 공공부문 비정규직 정규직화, 노동자이사, 청년수당 등도 새 정부가 관심을 두고 배우려는 서울시 정책들이다. 박 시장과 가까운 한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문재인 대통령이 후보 시절 박 시장을 찾아가 좋은 정책을 가져다 쓰겠다고 여러번 말했다. 중앙정부에서 못한 일들을 박 시장이 서울시에서 해낸 사례가 많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청와대와 서울시가 함께 풀어가야 할 사업도 많다. 대표적인 것은 광화문광장 재구조화다. 서울시는 고립된 광화문 광장을 더 개방적으로 변경하려 하고, 청와대는 대통령 집무실을 광화문 정부청사로 옮겨 청와대를 시민에게 개방하려 한다. 양자의 협력이 필수적이다. 또 중앙정부가 키를 쥔 용산공원 조성이나 한강 신곡보 철거도 협력할 일들이다.
|
하승창 수석
|
사법시험 동기이며 인권 변호사로 민주화 운동을 함께 해온 박 시장과 문 대통령의 인연도 청와대와 서울시의 협력에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박 시장은 최근 “선거 기간에 문 대통령에게 ‘당선되면 한달에 한번은 만나자. 언제든 직접 통화하자’고 제안했다”고 기대감을 표시했다. 서울시장 공관에서 청와대까지의 거리도 1.5㎞에 불과하다.
박 시장의 한 측근은 “청와대와 서울시는 중앙-지방 정부 간에 최고의 협치 모델을 만들 것이다. 그 모델을 통해 문재인 정부가 성공하고 박 시장의 정치적 미래도 열리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그러나 청와대 안에서는 ‘박원순 사람들’이 중용되고 있다는 시각이 조금 부담스럽다는 분위기도 있다. 4명이 서울시 출신이지만 박 시장의 참모들이라고 말하기는 어렵다는 것이다. 김규원 김태규 기자
che@hani.co.kr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