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BAR_알고 보면 더 재밌는 G20 정상회의 순간들
문재인 대통령의 ‘다자외교’ 첫 데뷔 무대, 주요20개국 정상회의(G20)의 막이 8일(이하 현지시각) 내렸습니다. 세계경제를 쥐락펴락한다는 나라들이 한 자리에 모였습니다. 이런 다자외교 무대에선 두 나라 정상만 만나는 양자회담보다 신경쓸 일이 많고, 자리배치를 두고 미묘한 신경전도 벌어집니다. 공식 일정 기간 지면에 다 담지 못한 이번 G20의 무대 뒤로 정치BAR가 안내합니다.
|
6일 함부르크 슈미트 공항에서 현지관계자가 가져온 환영꽃다발을 건네 받으려던 문재인 대통령이 “대통령 부인께 드릴 꽃다발”이라는 설명에 멋쩍어하며 크게 웃음을 터뜨리고 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
■ 내 꽃이 아니었어? 하하핫…
북한 핵·미사일 문제 해결 과제를 안은 문 대통령이 함부르크 슈미트 공항에 착륙했던 6일.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공식일정(7~8일) 전후로, 한·미·일 3국 만찬회동에 중국·일본·러시아 양자회담 등 ‘부담 만발 시간표’를 받아든 문 대통령의 어깨는 굳어 있었다. 비행기에 내린 문 대통령 부부를 마중 나온 독일 쪽 관계자가 꽃다발을 내밀었다. 무심코 먼저 손을 내민 문 대통령.
독일 쪽 관계자가 “실은 대통령 부인에게 전달하려던 꽃”이라고 말하자, 문 대통령은 파안대소하며 뒤로 물러났다. 대통령도, 꽃다발을 건네려던 이도, 지켜보는 사람들도 터져나온 웃음을 참지 못했고, 사진기자들의 플래시는 연달아 터졌다. 긴장을 풀어주는 유쾌한 시작이었다.
문 대통령은 청와대 내각 임명장 수여식 때 ‘배우자나 가족을 함께 참석시켜서 꽃다발을 주자’고 제안한 당사자다. 장관의 배우자에게 꽃다발을 직접 건네면서 “제 아이디어”라고 ‘깨알자랑’을 하곤 했었던 문 대통령이 정작 본인이 꽃다발에 먼저 손을 내민 것이다. G20 회의 준비에 얼마나 몰두해 있었는지 짐작할 수 있는 대목이다.
|
6일 한-미-일 만찬 회동 기념사진. 청와대 제공
|
■ ‘이니 블루’부터 ‘트럼프 레드’까지
“100% 우연이다. 그래서 ‘그레이트 케미스트리’ 아니겠느냐.” 청와대 관계자는 9일 ‘절대 사전에 짠 것이 아니었다’고 강조했다. 지난 6일 독일 함부르크 주재 미국총영사관에서 열린 한-미-일 정상회담 때, 차분한 심홍색 넥타이를 맨 문재인 대통령, 밝은 다홍색의 넥타이를 맨 트럼프 대통령과 달리 아베 총리만 짙은 남색에 점이 박힌 넥타이를 메며 ‘따돌린’ 것을 두고 하는 얘기다.
문 대통령은 지난달 말 한-미정상회담 때는 파란색 넥타이를 맸다. 더불어민주당의 상징색에 평소 ‘이니블루’라고 할 만큼 즐겨 매는 색이다. 또 성공과 신뢰를 상징하는 파란 색을 통해 한-미 정상회담의 성공을 기원한 것이다. 그 땐 백악관 쪽과 사전조율을 거쳐, 트럼프 대통령도 함께 푸른 계열 넥타이를 매고 나타나 ‘한미동맹’의 공고함을 드러내는 ‘깔맞춤 외교’를 보여줬다.
하지만 이번에는 사전조율은 따로 없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사전 조율이 있었다면, 세 나라가 함께 만나는 데 일본 쪽만 따로 할 리가 있느냐”는 게 청와대 관계자의 해명이다. 평소 붉은 넥타이를 즐기는 트럼프의 취향이야 널리 알려져 있지만, 문 대통령의 현지 코디가 우연히 겹쳤다는 것이다. 어쨌거나 두 대통령의 통한 ‘패션’은 한-미-일 3국 중 ‘한미 공조’에 관심을 붙드는 데 일조했다.
|
7일 오후 독일 함부르크에서 개막한 G20에 참석한 정상들이 회의에 앞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청와대 사진기자단
|
■ 문 대통령과 마크롱의 공통점은?
7일 G20 공식 환영 행사날, 독일 G20 정상회의 기념사진 촬영 때 문 대통령은 맨 앞줄 오른쪽 끝에 섰다. 첫번째 줄 가운데 선 주최국인 독일의 메르켈 총리 바로 오른편엔 중국 시진핑 주석, 러시아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 순으로 낯익은 얼굴이 눈에 띄는 반면 문 대통령은 왜 끝일까?
힌트는 맨 앞줄 왼쪽 끝, 문 대통령과 대칭점에 선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에서 얻을 수 있다. G20회의 관계자 전언에 따르면 자리는 개최국에서 정하고 구체적인 기준을 공식적으로 밝힐 수는 없지만, 대체로 주요국 가운데 재임기간이 긴 순서대로 가운데에 배치한다는 원칙을 따랐다는 것. 문 대통령과 마크롱 대통령은 지난 5월 취임한 ‘새내기’ 대통령이다. 1월 취임한 트럼프 대통령도 마크롱 대통령 바로 옆에 서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시진핑 주석은 2013년, 푸틴 대통령은 2012년 취임했기 때문에 가운데 쪽 자리를 배정받았다. 앞 줄은 국제 수반 중에서도 대통령, 두번째 줄은 총리, 그 뒤는 초청국, 마지막 줄은 국제기구 수장 순이며 나머지 자리는 번호표대로 배정한다고 한다.
지난 5월 나란히 취임식을 치른 문 대통령과 마크롱 대통령은 5년 임기를 거의 함께하게 된다. 문 대통령은 8일 마크롱 대통령과 정상회담에서도 “같은 시기에 프랑스, 한국의 대통령이 됐으니 공통점이 많다. 특히 가장 중요한 국정 과제를 둘 다 일자리 창출로 갖고 있는 것도 같다. 저와 정치 철학이 아주 비슷하다”며 공통점을 강조했다. 마크롱 대통령은 9월 서울에서 아셈(ASEM) 경제장관회의를 계기로 한 한·프 경제장관회담에 대한 기대감을 나타냈다. 문 대통령은 마크롱 대통령에게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 마스코트를 선물하며 프랑스 관광객들이 많이 찾아와달라고 ‘세일즈’하기도 했다.
■ 중국, 우리 보고 있니? 뜨거운 ‘삼각관계’
7일 환영행사날 기념사진 촬영을 마친 각국 정상들은 콘서트홀 ‘엘브필하모니’로 자리를 옮겼다. 메르켈 총리가 문화행사로 마련한 클래식공연을 관람하기 위해서였다. 정상들이 속속 좌석에 자리를 잡기 시작했고, 문 대통령 부부 옆에는 트럼프 대통령 부부가 나란히 서 있었다. 이때 뒤를 흘깃 돌아본 트럼프 대통령은 시진핑 주석이 뒤에 와서 선 것을 확인한 뒤, 갑자기 자신의 왼손을 가로질러 뻗어 문 대통령의 오른손을 잡아당겼다. 트럼프 대통령과 문 대통령 사이엔 트럼프 대통령의 부인 멜라니아 트럼프가 있었기 때문에, 손을 쭉 뻗어야 하는 다분히 의도한 악수였다.
|
문화공연에 참석한 문 대통령 부부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부부와 나란히 서 있다. 아직 시진핑 중국 주석은 뒤편에 자리를 잡지 않은 상태다. 사진 청와대 제공
|
|
문 대통령의 손을 끌어당기는 트럼프 대통령. 뒤편에 자리한 시진핑 중국 주석 부부의 모습이 보인다. 사진 청와대 제공.
|
|
문재인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이 손을 잡은 모습을 뒤에서 시진핑 중국 주석이 지켜보고 있다. 사진 청와대 제공.
|
|
트럼프 대통령이 문재인 대통령의 손을 두드리며 친분을 과시하고 있다. 사진 청와대 제공.
|
갑자기 손을 잡힌 문 대통령이 웃으며 트럼프 대통령을 쳐다보자, 트럼프 대통령은 잡은 손을 흔들었다. 사람들의 박수가 터져나왔다. 이때 트럼프 대통령 뒤에 선 시진핑 주석의 시선은 분명히 두 사람의 맞잡은 손으로 향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 정도로도 너무 짧은 시간이라고 여겼는지, 왼손을 놓지 않은 채 오른손까지 가져와 겹치며 문 대통령의 손을 두어번 가볍게 툭툭 두드리는 것으로 친근함을 과시했다. 문 대통령은 활짝 웃었다. 만족한 트럼프 대통령은 몸까지 돌려 뒤를 휙 돌아봤다. 미소를 잃지 않은 시 주석이 짐짓 모르는 척 눈을 피한 채 자리에 앉는 모습은, 그대로 카메라로 전 세계에 생중계됐다.
대북 제재 공조 및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 문제, 동북아 문제에서 미국의 역할, 무역·통상 문제 등을 놓고 중국과 미묘한 갈등을 이어가고 있는 트럼프 미 대통령이, 시 주석 앞에서 한-미동맹을 강조하고 문 대통령과의 친밀함을 한껏 과시한 ‘무대 뒤 외교’인 셈이다.
덧붙여 트럼프 대통령의 왼쪽 편에 서서 한-미-중의 ‘삼각관계’를 고스란히 지켜본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의 표정도 재밌다. 트럼프 대통령이 ‘악수’를 마치고 환호 속에 보란 듯 뒤를 돌아보자, 상황을 파악한 마크롱 대통령과 문 대통령은 크게 번지는 웃음을 숨기지 못한다. 그래도 예의상 시 주석 쪽을 돌아보지 않는 문 대통령과 달리, 마크롱 대통령은 대담하게 함께 몸을 틀어 시 주석의 반응을 훔쳐보면서 싱글벙글 호기심을 드러냈다.
■ G20 ‘인기인’…캐나다 트뤼도 총리와 즉석만남
G20회의에서 문 대통령의 인기는 높았다. 회담요청을 한 곳은 약 20개국이고, 이중 공식 통로를 통한 요청만 약 15개국이었다고 청와대 관계자는 전했다. 현지에서 일정도 계속 추가됐다. 취임 뒤 첫 참석인만큼 이번 기회에 ‘상견례’를 하려는 나라들도 많았던 까닭으로 풀이된다. 실제로 취임 초기인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도 회담 요청을 많이 받았다고 한다.
문재인 대통령이 현지에서 추가한 일정 중 관심을 끄는 것은 캐나다의 쥐스탱 트뤼도 총리와의 만남이었다. 트뤼도 캐나다 총리는 40대의 젊은 나이로, 만 39살로 대통령에 당선된 마크롱과 함께 세계 정상 중 ‘젊은 피’로 관심을 받는 인물이다. 예정에 없던 일정이라, G20회의 세션 참석 도중 시간을 쪼개 만나는 ‘약식’ 회담으로 진행됐다. 다만 약식이라고 해서 가벼운 것은 아니다. 이 자리에서 캐나다 쪽에 대북 공조를 요청한 문 대통령은 “북한이 이번에 발사한 미사일이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이라면 미국 뿐아니라 캐나다도 사정범위에 들어갈 수 있다”며 “6·25 이후 최고의 위기” 등 묵직한 발언을 쏟아냈다. 트뤼도 총리는 한국계 캐나다인 임현수 목사가 북한에 억류된 사실을 거론하며 “북한에 대한 여러 제재에 동참하겠다”고 답했다. 문 대통령은 이외에도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UN) 사무총장, 도널드 투스크 유럽연합(EU) 상임의장과의 만남 등 일정에 없던 바쁜 스케줄을 소화했다.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은 강경화 외교부 장관 임용을 두고 “제 밑의 직원을 데려간 것은 논의를 좀 해봐야겠다”고 농담을 건네기도 했다고 한다.
정유경 기자
edge@hani.co.kr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