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8.01.03 18:43 수정 : 2018.01.04 09:50

3일 오후 3시34분 경기 파주시 판문점 공동경비구역(JSA) 안 연락사무소에서 ‘남북직통전화’를 통해 우리 쪽 연락관이 북쪽과 통화하고 있다. 통일부는 “오후 3시30분 북한이 전화를 걸어왔으며, 전화와 팩스가 정상적으로 가동되는지 확인했다”고 밝혔다. 화면 앞에 있는 전화기 2대의 기능은 같지만 통상 연락관이 들고 있는 전화(녹색)는 남쪽이 전화를 걸 때 쓰는 발신용, 빨간색 전화는 북쪽의 전화를 받는 수신용으로 사용한다. 이날은 남북 연락관들이 2대를 모두 들어가며 성능을 확인했다. 가운데 있는 녹색과 빨간색 버튼은 호출용이다. 모니터 위 왼쪽 시계는 남한 시각, 오른쪽 시계는 북한 시각을 표시한다. 통일부 제공

판문점 직통전화 다시 개통
북, 회담 제의 하루만에 화답
청 “상시대화 가능해졌다”

3일 오후 3시34분 경기 파주시 판문점 공동경비구역(JSA) 안 연락사무소에서 ‘남북직통전화’를 통해 우리 쪽 연락관이 북쪽과 통화하고 있다. 통일부는 “오후 3시30분 북한이 전화를 걸어왔으며, 전화와 팩스가 정상적으로 가동되는지 확인했다”고 밝혔다. 화면 앞에 있는 전화기 2대의 기능은 같지만 통상 연락관이 들고 있는 전화(녹색)는 남쪽이 전화를 걸 때 쓰는 발신용, 빨간색 전화는 북쪽의 전화를 받는 수신용으로 사용한다. 이날은 남북 연락관들이 2대를 모두 들어가며 성능을 확인했다. 가운데 있는 녹색과 빨간색 버튼은 호출용이다. 모니터 위 왼쪽 시계는 남한 시각, 오른쪽 시계는 북한 시각을 표시한다. 통일부 제공
북쪽이 남쪽의 대화 제의 하루 만에 ‘응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판문점 연락채널은 1년11개월 만에 복원됐다. 남북대화가 급물살을 탈 것으로 전망된다.

통일부 당국자는 3일 “남북 판문점 연락관 간에 통화가 오후 3시30분에 이뤄졌다. 전화는 북쪽에서 걸어와 20분간 통신선 점검 등 상호 접촉이 진행됐다”고 밝혔다. 이 접촉에서는 통신선 이상 유무에 대한 기술적 점검이 주로 이뤄졌고 남북회담 등과 관련한 논의는 이뤄지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남북이 판문점 연락채널을 재가동한 것은 북한이 2016년 2월 개성공단 폐쇄에 대한 반발로 끊은 이후 1년11개월 만이다. 윤영찬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은 판문점 연락채널 복원에 대해 “연락망 복원의 의미가 크다. 상시 대화가 가능한 구조로 가는 것으로 평가된다”고 환영했다.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이 1일 신년사에서 남북회담에 나설 수 있다는 뜻을 밝힌 뒤 2일 조명균 통일부 장관의 고위급 남북회담 제안과 3일 남북 판문점 연락채널 복원 등이 이어지면서 남북대화 국면에 탄력이 붙는 모양새이다.

앞서 북한은 이날 오후 1시20분께 판문점 연락채널 복원을 예고했다. 우리의 통일부 장관 격인 리선권 북한 조국평화통일위원회(조평통) 위원장은 <조선중앙티브이>를 통해 “(김정은 위원장이) 평창 올림픽경기대회 대표단 파견 문제를 포함하여 회담 개최와 관련한 문제들을 남측과 제때에 연계하도록 3일 15시(서울시각 오후 3시30분)부터 북남 사이의 판문점 연락통로를 개통할 데 대한 지시를 주시었다”고 밝혔다. 리 위원장은 또 “우리는 최고지도부의 뜻을 받들어 진지한 입장과 성실한 자세에서 남조선 측과 긴밀한 연계를 취할 것이며 우리 대표단 파견과 관련한 실무적 문제를 논의해 나갈 것”이라며 “다시 한번 평창 올림픽경기대회가 성과적으로 개최되기를 진심으로 바란다”고 말했다. 리 위원장은 또 김 위원장이 남북대화 실무를 노동당 통일전선부와 조평통, 국가체육위원회에서 담당하라고 지시했다고 밝혔다.

한편, 강경화 외교부 장관은 이날 오전 렉스 틸러슨 미국 국무장관과 통화를 하고 남북회담 제안의 배경을 설명하고 평창 겨울올림픽을 계기로 남북관계 개선과 북핵 문제의 평화적 해결을 추진해 나가고자 하는 정부의 기본 입장을 강조했다. 틸러슨 장관은 “한-미 양국 간 긴밀한 공조하에 북한을 의미있는 비핵화의 길로 이끌어내기 위한 외교적인 노력을 지속해 나가자”고 말했다고 외교부는 전했다.

박병수 선임기자, 성연철 기자 suh@hani.co.kr

[관련 영상] 정세현·문정인의 2018 한반도 전망 | 한겨레TV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