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18.02.07 14:19
수정 : 2018.02.07 14:49
|
스키점프의 화려한 비상 모습. 2018 평창겨울올림픽조직위원회 누리집
|
|
스키점프의 화려한 비상 모습. 2018 평창겨울올림픽조직위원회 누리집
|
1924년 프랑스 샤모니에서 처음 시작된 겨울올림픽은 숱한 영웅들의 탄생과 경이로운 기록을 남겼다. 제23회째인 2018 평창겨울올림픽 개최를 앞두고 숫자로 겨울올림픽이 남긴 기록을 살펴본다. 2018 평창겨울올림픽 ‘Info2018’ 의 통계자료다.
1=대한민국이 처음 겨울올림픽을 개최하다.
3=한국이 겨울올림픽에서 메달을 딴 종목의 수. 쇼트트랙스케이팅 42개, 스피드스케이팅 9개, 피겨스케이팅 2개.
4=한국의 전이경은 겨울올림픽에서 한국 선수로는 가장 많은 4개(여자 쇼트트랙)의 금메달을 땄다. 1994년 2개, 1998년 2개.
5=미국의 에릭 하이든이 1980년 겨울올림픽에서 스피드스케이팅 남자부에서 딴 금메달 수. 남자 스피드스케이팅 전 종목 금메달이다. 그는 또한 여름올림픽을 포함해 단일올림픽 사상 5개의 개인 금메달을 딴 최초의 선수가 됐다.
6=헝가리가 금메달 없이 따낸 메달 수(역대 최다). 피겨에서 은메달 2개, 동메달 4개를 가져갔다.
8=한국이 설상 종목에서 이룬 최고의 성적 수. 2002년 스키점프 남자 팀 라지힐 종목이다.
12=캐나다가 겨울올림픽에서 금메달을 따낸 12개 종목의 수. 역대 최다이다. 노르딕스키복합과 루지, 스키점프에서 아직 금메달이 없다.
13=노르웨이의 올레 아이나르 뵈른달렌이 겨울올림픽 바이애슬론 종목에서 획득한 메달 수. 금메달 8개, 은메달 4개, 동메달 1개다. 겨울올림픽 역사상 가장 성공한 선수로 평가받는다.
14=미국이 겨울올림픽에서 메달을 따낸 종목의 수. 역대 최다이다. 아직 바이애슬론에서 메달이 없다.
23=2018 평창겨울올림픽은 23회째 대회다. 첫 대회는 1924년 프랑스 샤모니에서 열렸다.
25=올림픽에서 피겨스케이팅 종목이 열리는 횟수. 1908년과 1920년 여름올림픽에서 두차례, 그리고 겨울올림픽에서 22차례나 개최됐다.
40=노르웨이의 올레 아이나르 뵈른달렌이 2014 소치겨울올림픽 때 바이애슬론 남자 10㎞ 스프린트에서 금메달을 땄을 때의 나이는 만 40살12일이었다. 겨울올림픽 사상 최고령 개인전 금메달이다.
102=2018 평창겨울올림픽에서 열리는 세부종목 수.
114=오스트리아가 겨울올림픽 알파인스키에서 획득한 메달의 수. 단일종목에서 한 국가가 따낸 최다의 메달이다.
강릉/김경무 선임기자
kkm100@hani.co.kr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