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8.02.10 17:43 수정 : 2018.02.11 14:54

문재인 대통령이 9일 강원도 용평 블리스힐스테이에서 아베 신조 일본 총리와 정상회담을 하고 있다. 청와대 사진기자단

9일 회담서 “주권이자 내정에 관한 문제” 강한 유감
위안부 문제.북핵 해법 놓고도 현격한 견해차 드러내

문재인 대통령이 9일 강원도 용평 블리스힐스테이에서 아베 신조 일본 총리와 정상회담을 하고 있다. 청와대 사진기자단
문재인 대통령이 9일 한미 합동 군사훈련 문제를 언급한 아베 신조 일본 총리에게 “내정에 간섭하는 것은 곤란하다”며 강한 유감을 표시했던 것으로 10일 알려졌다.

윤영찬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은 이날 기자들과 만나 전날 문 대통령과 아베 총리의 비공개 회담 내용을 소개했다. 윤 수석은 “아베 총리가 ‘올림픽 이후가 고비다. 비핵화에 대한 북한의 진지한 의사와 구체적인 행동이 필요하다. 한미 군사훈련을 연기할 단계가 아니다. 한미 합동 군사훈련은 예정대로 진행하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며 “이에 문 대통령은 ‘아베 총리의 말씀은 북한의 비핵화가 진전될 때까지 한미 군사훈련을 연기하지 말라는 말로 이해한다. 그러나 이 문제는 우리 주권의 문제이고 내정에 관한 문제다. 총리께서 이 문제를 직접 거론하는 것은 곤란하다’고 말했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과 아베 총리는 전날 세번째 정상회담에서 일본군 위안부 문제와 북핵 해법을 두고 현격한 견해차를 드러냈다. 문 대통령은 “위안부 합의는 국가 대 국가의 합의로 정권이 바뀌어도 지켜야 한다는 게 국제 원칙이다. 일본은 그 합의를 최종적이고 불가역적인 것으로 받아들이고 약속을 지켜온 만큼 한국 정부도 약속을 실현하기를 희망한다”는 아베 총리의 말에 “위안부 합의가 해결되지 못했다는 결정은 지난 정부의 합의 이후 위안부 할머니들과 국민들이 합의 내용을 받아들이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반박했다. 문 대통령은 또 “북한은 평창올림픽 기간 남북 대화를 하면서도 핵과 미사일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북한의 미소외교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고 한 아베 총리에게 “남북 대화가 비핵화를 흐린다거나 국제 공조를 흩뜨린다는 것은 기우에 지나지 않는다”고 일축했다.

성연철 기자 sychee@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