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8.03.16 21:56 수정 : 2018.03.16 23:59

임동원 단장 매머드 자문단은

2000년·2007년 정상회담 참여
전 정부 인사들로 구성 가능성

남북정상회담 준비위원회 위원장인 임종석 대통령비서실장이 16일 오후 청와대 여민관에서 준비위원회 첫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연합뉴스

4월 남북정상회담을 준비하기 위해 청와대가 임동원 전 통일부 장관을 단장으로 하는 대규모 자문단을 꾸리기로 해, 구성과 역할이 주목된다.

임종석 대통령 비서실장은 16일 브리핑에서 “준비위는 지난 2회의 정상회담 결과를 공유하고 각계각층의 의견 수렴을 위해 임동원 전 통일부 장관을 단장으로 하는 30~40명 내외의 자문단을 위촉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임동원 전 장관은 김대중 대통령의 특사로 김정일 국방위원장을 독대해 첫 남북정상회담을 성사시키는 등 남북관계사에서 가장 경험이 풍부한 원로다.

자문단에 참여할 인사들의 명단을 아직 최종 확정하지는 않은 것으로 보인다. 임 실장은 “경험 많으신 원로, 전문가 또 소장그룹에서도 한반도 문제 중심으로 연구해오신 분들을 위촉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정부 내에서는 자문 역량에 무게를 둔 ‘실무 집중형’ 안과 보수·진보·중도를 아우르는 ‘국론 통합형’ 안을 두고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실무 집중형이 주축이 될 경우, 자문단은 2000년과 2007년 남북정상회담에 참여했던 김대중·노무현 정부 인사들을 중심으로 구성될 수 있다. 청와대가 이날 밝힌 △한반도 비핵화 △항구적 평화 정착 △남북관계 진전 등 ‘3대 의제’는 남북관계를 규정하는 본질적인 요소인데다, 앞선 두 차례 정상회담에서도 다뤄졌던 내용이기 때문이다. 4월 정상회담까지 시일이 촉박한 점도 고려 사항이다. 그러나 여론의 지지를 얻지 못할 때의 부담과 국민과의 소통을 중시하는 문재인 대통령의 기조에 비춰볼 때 ‘국론 통합형’으로 꾸려질 개연성도 충분하다.

김지은 기자 mirae@hani.co.kr

광고

관련정보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