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평화의집 1층 정면 벽에 걸린 민정기 작가의 <북한산>. 두 정상의 판문점 공동선언 서명과 포옹 장면 등 중요 순간들의 배경이 됐다.
|
회담 성공 ‘숨은 공신’ 미술품
희망처럼 노란빛이 산세 두른 <북한산>
풍성하고 짙은 <상팔담에서 본 금강산>
훈민정음 사진 <천년의 동행, 그 시작> 등
|
평화의집 1층 정면 벽에 걸린 민정기 작가의 <북한산>. 두 정상의 판문점 공동선언 서명과 포옹 장면 등 중요 순간들의 배경이 됐다.
|
회담장 분위기 운치 있게 살려
남북 두 정상 소통 ‘가교’ 역할
서명 등 중요 순간 배경 되기도 청·현대미술관, 수차례 선정 논의
훈민정음 작품은 김정숙 여사가 제안
‘백두산 그림’은 철도연결 논의 실마리 “제 그림 앞에서 남북 정상이 사진 찍고, 화풍을 말하더군요. 너무 벅차 한참 영상을 바라보기만 했습니다.” 화해의 새 역사를 쓴 4·27 남북정상회담이 결실을 맺기까지 숨은 공신 중 하나는 이 땅의 산하와 자연을 담은 미술품들이었다. 특히 회담 장소인 판문점 평화의집 1층에 내걸린 <북한산>(2007년)은 두 정상의 판문점 공동선언 서명과 포옹 같은 역사적 순간들의 배경으로 등장했다. <북한산>을 그린 민정기 작가는 30일 <한겨레>와의 통화에서 벅찬 소회를 털어놓았다. 깔깔한 골기를 지닌 북한산 암봉들을 표현한 <북한산>은 겸재 정선의 <금강전도>처럼 다양한 산세 곳곳을 한눈에 조망하도록 아우른 원형의 구도를 이뤄 화합·평화를 추구한 회담 취지에 맞춤했다는 호평을 받았다. 민 작가는 “봉우리들이 삐죽삐죽 솟아 산세가 강한 느낌을 주는 북한산을 산성이 동그랗게 감싸면서 자연과 인문이 조화된 상상의 진경을 구상했다”며 “회담장 조명과 배치 등이 그림의 질감 구도를 잘 뒷받침해 효과적으로 이미지가 연출됐다”고 했다.
|
‘여초 김응현의 훈민정음’을 김중만 작가가 재해석해 찍은 사진작업 <천년의 동행, 그 시작>. 평화의집 1층 접견실에 걸렸다.
|
|
평화의집 2층 회담장에 걸린 신장식 작가의 <상팔담에서 본 금강산>.
|
광고

기사공유하기